[기자수첩] 문 닫는 은행에 갈 곳 잃은 고령층

강한빛 기자 2022. 6. 26. 05:21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최근 만난 금융단체 관계자들이 시중은행의 잇단 점포 축소 현상을 우려하며 한 말이다.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KB국민·신한·우리·하나 등 국내 4대 시중은행의 점포수(지점·출장소 포함)는 2019년 3525곳, 2020년 3303곳, 지난해 3079곳으로 줄었다.

소리소문 없이 사라지는 점포, 또 여전히 높기만 한 디지털 금융 문턱에 고령층 고객은 거리가 멀더라도 다른 은행을 찾아가는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은행이 돈만 만지는 곳 같아도 동네 사랑방 역할을 톡톡히 합니다. 어떨 땐 동네 모임 장소가 되기도 하고 혼자 사는 노인들한테는 세상이랑 소통하는 연결고리가 되기도 하고요. 요즘 점포가 줄고 있는데 은행의 역할이 사라질까 우려됩니다"

최근 만난 금융단체 관계자들이 시중은행의 잇단 점포 축소 현상을 우려하며 한 말이다. 은행들이 점포 운영 효율성과 디지털 전환을 이유로 오프라인 점포수를 줄이고 있는 가운데 급격한 점포 폐쇄는 부작용을 야기할 수 있다는 얘기다. 특히 디지털 금융 확산의 그림자는 고령층에게 유독 짙을 것이라는 게 그의 주장이다.

은행들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여파로 비대면 금융 서비스가 활성화되자 오프라인 점포를 줄이고 있다. 대신 앞다퉈 온라인으로 눈을 돌려 디지털 금융에 열을 올린다. 이 같은 선택과 집중에 매년 수백 개의 시중은행 점포가 사라지고 있다.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KB국민·신한·우리·하나 등 국내 4대 시중은행의 점포수(지점·출장소 포함)는 2019년 3525곳, 2020년 3303곳, 지난해 3079곳으로 줄었다. 이 같은 추세라면 올해 말 점포수는 앞자리 숫자를 바꿀 가능성이 크다.

문제는 여전히 디지털 금융은 고령층에게 '그림의 떡'이라는 점이다. 수십 년 동안 은행을 방문해 서비스를 이용하던 이들에게 디지털 금융은 낯설 수밖에 없다.

지난달 한국은행이 20세 이상 성인 3536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한 결과 평균 65.4%는 최근 한 달 이내 모바일을 활용한 금융 서비스를 이용한 것으로 집계됐다. 30대 89.7%, 20대는 86.9%의 높은 응답률을 보였다. 반면 60대 응답자 중엔 39.6%, 70대 이상은 15.4%에 그쳤다. 연령층이 높아질수록 디지털 금융과는 거리가 있는 모습이다. 소리소문 없이 사라지는 점포, 또 여전히 높기만 한 디지털 금융 문턱에 고령층 고객은 거리가 멀더라도 다른 은행을 찾아가는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발등에 불이 떨어진 건 은행들이다. 급격한 디지털화로 고령층의 불편이 사회적 문제로 떠오르자 부랴부랴 할머니·할아버지 고객 돌보기에 나섰다. 디지털 기기, 앱 이용에 익숙하지 않은 고령층을 위한 금융교육을 진행하거나 편의점 제휴 점포 혹은 한 지붕 아래 공동지점을 세우는 등 줄어든 점포에 따른 불편해소에 나서는 식이다. 하나은행은 CU, 신한은행은 GS25와 손잡고 편의점 내 점포를 운영하고 있다. 최근엔 지방은행 중 처음으로 DGB대구은행이 세븐일레븐 내 점포를 설치했다.

정부도 디지털 금융의 그림자를 예의주시하고 있다. 김소영 금융위원회 부위원장은 최근 "금융접근성이 낮은 취약계층을 대상으로 직접 찾아가는 대면교육을 활성화하겠다"고 강조했다. 디지털 금융 격차를 좁히기 위해 모든 사람이 금융역량을 습득할 수 있는 기회를 만들겠단 계획이다.

금융권의 디지털 전환은 거스를 수 없는 숙명이자 시대적 과제다. 하지만 디지털 패권전쟁에만 몰두해 디지털에 익숙하지 않은 고객이 소외되는 일은 없어야 한다. 고령층을 위한 금융서비스가 강화돼야 하는 이유다. 이들에 대한 배려 없인 금융권 모두가 한 목소리로 외치는 '포용 금융', '모두를 위한 금융'은 속 빈 구호에 그칠 뿐이다.

[머니S 주요뉴스]
머리카락 튀긴 치킨집…별점 1점 남겼더니 사과하라?
10분간 택시가 비틀비틀…기사 마구 때린 만취녀
2살 아이 태우고 음주운전…경찰차 받고 행인 덮쳐
"집문 안열어줘"…구청장 당선인 아들이 경찰 신고
2시간에 1만1000원…군부대 앞 PC방 요금 실화냐?
"경찰 불러주세요"…음식배달 요청사항에 SOS
"배달노동자는 개?"… 경찰 현수막 속 '그림' 논란
미성년자 성관계 200번 불법촬영…무죄 이유는?
변기물에 태아 방치해 사망…20대女 '집행유예'
이웃 여성 집 현관에 콘돔 건 남자…황당한 이유

강한빛 기자 onelight92@mt.co.kr
<저작권자 ⓒ '성공을 꿈꾸는 사람들의 경제 뉴스'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pyright © 머니S & moneys.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