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시대 장원급제자는 어떤 답안지를 써냈을까
윤상진 기자 2022. 6. 25. 03:01
아무나 볼 수 없는 책
장유승 지음 | 파이돈 | 344쪽 | 1만7000원
조선 시대 과거 시험 장원급제자들의 답안은 어땠을까. 세종 연간인 1426년 과거 시험에선 여진족의 침입 때 함경도를 어떻게 지킬 것인지 물어봤다. “인(仁)을 지키면서 의(義)를 따라야 나라를 다스리는 도리가 바로 서고 변방을 방비하는 방법을 얻습니다.” 장원을 차지한 황보량(皇甫良)의 답. 국방 대책을 물었는데, 유학 경전 구절을 인용한 답이 수석을 차지했다. 이를 통해 조선이 원한 인재상을 가늠해볼 수 있다. 이는 국립중앙도서관에 보관된 귀중본 중 하나인 ‘동국장원책(東國壯元策)’에 실린 사례 중 하나다. 여기엔 조선 전기 과거 시험에서 장원을 차지한 25명의 답안지가 담겨 있다.
한문학자이자 단국대 교수인 저자는 9년 전 ‘쓰레기 고서들의 반란’을 써 많은 독자의 사랑을 받았다. 이번엔 학자들에게도 열람을 잘 허락하지 않는 국립중앙도서관 소장 조선 시대 귀중본 26권의 이야기를 풀어낸다. 금강산 여행을 떠나는 두 청년 이야기인 ‘금강록(金剛錄)’, 지옥에 가지 않기 위한 제사 절차를 소개한 ‘예수시왕생칠재의찬요(預修十王生七齋儀纂要)’ 같은 고서를 통해 조선 사람들의 의식 세계를 미세하게 들여다본다.
Copyright © 조선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조선일보에서 직접 확인하세요. 해당 언론사로 이동합니다.
- 前 美해군장관 고문 “한미 재래식 잠수함 건조 협력해야”
- [단독] 배우자 상속, 법정 상속분 넘어도 모두 공제… 與 ‘배우자 상속세 폐지법’ 발의
- 안덕근 산업장관, 美 재방문 추진… 에너지협력 및 민감국가 제외 요청할 듯
- ‘탄소 빨아들이는 황근·갯대추나무’... 제주 세미맹그로브숲 조성한다
- 이재명 ‘대장동 민간업자’ 배임 재판에 불출석 신고서 제출
- 소개팅 앱서 사귀어주는 척... 50회 걸쳐 5200만원 뜯어낸 40대 여성 구속 송치
- 최상목 권한대행, 美 민감국가 지정에 “산업장관, 이번주 美에너지장관 협의"
- Samsung chief urges ‘do-or-die’ approach to tackle crisis
- [단독] ‘유니세프처럼 기부하면 굿즈’ 종합화 50주년 서울대, 소액 정기기부 프로그램 신설
- 서울 첫 이케아 매장 ‘이케아 강동점’ 다음달 17일 오픈… 쇼핑몰 내 입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