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요칼럼] 18세 천재 피아니스트의 수상한 수상소감

김보라 2022. 6. 25. 00:13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밴 클라이번 콩쿠르 우승 임윤찬
"피아노와 산에서 살고 싶다"
100세 철학자 같은 '깜짝 소감'
나만의 '행복 기준' 세운 Z세대
콩쿠르도 "나를 위한 시간"
디지털 세상 '일찍 깨달은 세대'
비교로 불행 만든 과거와 이별
김보라 문화부 차장

졌다. ‘부러우면 지는 거’라고 하던데 솔직히 부러웠다. 18세에 세계적인 음악 콩쿠르 밴 클라이번에서 최연소 1위를 기록한 피아니스트 얘기다. 흑백의 건반 사이를 물 흐르듯 가르는 화려한 연주 실력 때문이 아니다. 세상을 놀라게 한 전설의 연주를 마친 뒤의 소감 때문이다.

“모든 것을 버리고 산에 들어가서 피아노 하고만 사는 게 꿈인데, 그렇게 되면 수입이 없으니까 어쩔 수 없이 이렇게 살고 있다.”

이 무슨 100세 철학자 같은 말인가. ‘세계 제패’니 ‘금메달 수상’이니 하는 세상의 언어가 머쓱해지는 순간이다. 이어지는 말엔 완전히 무릎을 꿇었다.

“한국 나이로 내년에 성인이 되는데, 그 전에 내 음악이 얼마나 성숙했는지 확인해보기 위해 콩쿠르에 나왔다. 음악 앞에 모두가 학생이고, 내가 어느 위치에 있다고 생각하지 않는다.”

‘다른 차원’의 연주 실력을 뛰어넘는 ‘완전히 다른 차원’의 속마음을 내놓은 임윤찬은 2004년생. 그의 말엔 미래 세대의 코드가 담긴다. 기성세대가 순위 매기기를 위해 만들어진 콩쿠르는 ‘나를 확인하기 위한 시간’으로, 목에 걸어준 금메달은 ‘쇳덩어리’로 바뀐다. 어쩌면 임윤찬의 말에는 이전까지의 세대가 젊을 때 미처 깨닫지 못한 삶의 본질이 들어 있다. 행복의 조건을 먼저 깨달은 세대의 통찰이 녹아 있다.


돌아보면 놀라울 것도 없다. 2020년 도쿄올림픽을 잠시 떠올려보자. 양궁팀 동료에게 ‘쫄지 말고 그냥 대충 쏴’(2001년생 안산)라는 의연함, 높이뛰기로 자신의 기록을 깬 뒤 메달은 못 땄지만 ‘후회 없는 경기가 맞고, 진짜 저는 행복하다’(1996년생 우상혁)는 당당함, 자유형 100m로 아시아 신기록을 세운 뒤 ‘물속에서 행복했다’(2003년생 황선우)는 여유로움을 우리는 이미 봤다. 일상에서 별것 아닌 것에 조급해하고, 별것 아닌 말에 얼굴 붉히고, 별것 아닌 것에 우울해하던 우리는 그렇게 새로운 세대의 말들에 흠칫 놀라곤 했다.

한국 경제가 우상향 그래프를 그릴 때도 우리의 행복지수는 늘 바닥에서 헤맸다. ‘엄친아’ ‘아친딸’ ‘금수저’ ‘흙수저’처럼 끊임없이 남과 비교하는 신조어를 만들어내며 굳이 스스로를 열등감 속으로 몰아넣었다. 심지어 행복지수를 두고도 매년 상위권 국가를 ‘부러워하며’ 그들은 왜 행복할까를 분석하느라 여념 없었다. 건강한 부러움은 삶을 나아가게 하는 동력이 되기도 하지만 모두가 같은 기준에서 행복의 기준을 찾는다는 건 애초에 환상에 가깝다.

Z세대로 불리는 이들은 어떻게 비교의 지옥에서 ‘깨달음의 세대’가 됐을까. 어떻게 자신만의 기준을 세우고 그 안에서 그토록 행복할 수 있는 세대가 됐을까.

Z세대는 디지털 원주민들이다. 태어날 때부터 전 세계의 문화, 정보와 다층적으로 연결됐다. 내가 몰랐던 세계가 어느 순간 드넓게 확장되고, 때론 내가 알던 세계가 그저 작은 먼지일 수 있음을 유년기부터 체화한 이들이다. 누가 정한 건지 모를 기준에 의한 ‘주류의 세계’에서 아등바등 경쟁을 벌이는 어른들의 모습이 이들 눈에는 별 의미 없는 삶처럼 보였을 테다. 주류 근처에서 맴돌며 인정받길 기다리느니, 우리만의 리그를 만드는 편이 더 효율적이라는 걸 눈치챘을 테다. 안 되는 걸 되게 하느니, 안 되면 되는 거 하는 게 현명하고, 일찌감치 내 안의 나와 싸우며 내가 잘하는 것에 집중하는 것이 근원적 행복에 이르는 지름길이라고 터득했을 테다.

본래 인간은 부모로부터 형성된 유년기의 1차 자아와 청소년기의 2차 자아를 갖고 성장한다. 독립된 인간이 되기 위해 이 두 가지 과정에서 만들어진 자아를 깨부수고 나와야 하는데, 사실 이전까지의 세대는 대부분 중년이 될 때까지 그러지 못했다. 부모가 만든 기준, 학교가 만든 경쟁, 사회가 만든 잣대에 적당히 맞춰가며 그게 바로 나의 모습인 것처럼 살았다. Z세대는 사회화 과정을 디지털 세상에서 겪었다. 부모와 또래집단을 넘어서 더 광활한 세상에서 다양한 모양으로 각자의 세계를 구축했다.

하버드대의 인생 성장 보고서 《행복의 조건》은 사랑하는 사람, 내일의 희망, 내가 할 수 있는 일을 행복의 조건으로 꼽는다. 이타적인 삶, 예술적 창조로 갈등을 해소하는 승화, 밝은 면만 보려고 인내하는 억제, 지나치게 심각한 태도를 취하지 않는 유머 등 네 가지 심리적 방어기제가 행복의 조건을 구체화하는 전제라고도 말한다. 이 결론을 얻는 데까지 하버드대 연구진은 한 세기를 보냈다. Z세대는 디지털 세상 속에서 불과 10년 만에 이것을 온몸으로 깨우쳤다. 아, 부럽다.

경제지 네이버 구독 첫 400만, 한국경제 받아보세요
한국경제신문과 WSJ, 모바일한경으로 보세요

Copyright © 한국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