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라산서 잇단 불법행위..보전 관리 정책 강화해야"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국립공원이자 세계자연유산인 제주 한라산에서 각종 불법행위가 잇따르고 있어서 관리를 강화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제주환경운동연합은 24일 성명을 통해 "최근 언론에서 보도된 탐방객 등에 의한 한라산 훼손 실태는 충격적"이라며 "제주도는 한라산 보전을 위한 관리 정책을 강화하라"고 촉구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제주=연합뉴스) 전지혜 기자 = 국립공원이자 세계자연유산인 제주 한라산에서 각종 불법행위가 잇따르고 있어서 관리를 강화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제주환경운동연합은 24일 성명을 통해 "최근 언론에서 보도된 탐방객 등에 의한 한라산 훼손 실태는 충격적"이라며 "제주도는 한라산 보전을 위한 관리 정책을 강화하라"고 촉구했다.
이 단체는 "절대적 보전이 필요한 한라산에서 탐방객들이 버젓이 불법행위를 반복하고, 심지어 탐방로 정비를 담당한 업체가 탐방로 밑에 쓰레기를 버려 방치하는 등 사실상 무법지대화 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 단체는 "특히 탐방로 정비업체가 버리고 간 공사 폐기물에 대해서만큼은 책임을 묻지 않을 수 없다. 페인트 통을 비롯해 썩은 나무 자재와 녹슨 철근까지 버리고 갔다"며 "업체에 분명한 책임을 묻고 관리 미흡에 대한 개선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한 "일부 몰지각한 탐방객이 출입 금지 구역에 들어가 음식과 술을 마시고, 불법으로 야영을 하고, 아무 데나 쓰레기를 버리기도 한다"며 "탐방객 불법행위에 대한 책임을 강화하고, 관리 가능한 수준으로 탐방객을 줄이려는 노력도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 단체는 "한라산은 제주의 상징으로, 제주의 자연환경과 생태계를 유지하는 첨병이자 보고"라며 "더욱 강력한 관리 방안을 시급히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최근 한라산에서는 지난 9일 탐방객 9명이 백록담 분화구에 무단출입하는가 하면 지난 17∼18일에는 출입 금지 구역에서 불법 야영을 하던 탐방객들이 무더기로 적발됐으며, 탐방로 등 곳곳에 쓰레기가 널려 있다는 보도가 나오기도 했다.
atoz@yna.co.kr
▶제보는 카톡 okjebo
Copyright © 연합뉴스. 무단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 활주로 거북이 피하려 바퀴 올렸나…美비행기 추락해 2명 숨져 | 연합뉴스
- 부산 아파트 화단서 발견된 10대 3명 숨져…경찰 경위 파악 | 연합뉴스
- 북한 TV, 'PSG 이강인' 득점 장면에서 얼굴 모자이크 | 연합뉴스
- 속초로 파견 온 日 공무원 다나카 씨…"퇴근송 인상적이에요" | 연합뉴스
- 노래방서 여성 살해한 종업원, 전처에겐 '1원 송금' 스토킹 | 연합뉴스
- '천왕 할머니' 지리산 성모상 새 모습으로 천왕봉 지킨다 | 연합뉴스
- 말레이서 심장마비로 숨진 아빠 팔에 깔려 3개월 아기도 사망 | 연합뉴스
- 자기 잡으러 온 줄도 모르고…형사 잠복차량 털려던 50대 절도범 | 연합뉴스
- 접근금지 종료 1주 만에 아내 살해한 60대 "미안한 거 없다" | 연합뉴스
- 일본 테니스 스타 니시코리, 불륜 의혹에 사과 "깊이 반성" |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