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인의 詩 읽기] 아무도 울지 않았으리라

2022. 6. 24. 12:41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6월이 오면 생각나는 시가 김종삼(1921∼1984)의 <민간인> 이다.

2연 7행에 불과한 짧은 시이지만 감당하기 힘든 우리 현대사의 비극이 담겨 있다.

시 제목이 <민간인> 이다.

20여 년이 지났지만(이 시는 1977년에 발표됐다) 아무도 그 수심을 모른다는 것인데, 이때의 수심(水深)을 우리는 살아남은 자의 수심(愁心)으로 읽어야 한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01010101401.20220624.900052336.05.jpg

6월이 오면 생각나는 시가 김종삼(1921∼1984)의 <민간인>이다. 2연 7행에 불과한 짧은 시이지만 감당하기 힘든 우리 현대사의 비극이 담겨 있다.

1연은 아무런 설명 없이 시간과 장소만 제시한다. 그런데 저때가 언제이고, 저기가 어디였던가. 해방된 지 2년, 6·25가 터지기 3년 전. 38선이 남과 북을 가로막고 있을 때다. 일제 치하에서 벗어났으나 좌우 이념대립이 극심하던 혼란기. 한 가족이 야음을 틈타 월남을 시도한다.

사공이 신신당부했으리라. ‘작은 소리라도 나면 우린 다 죽는다.’ 캄캄한 밤바다보다 더 캄캄했을 생의 앞날. 뱃멀미가 났으리라. 젖먹이는 오죽했으랴. 급기야 으앙, 울음이 터진다. 언제 어디서 총알이 날아올지 모르는 생사의 기로. 아기 입을 틀어막고 있던 (아마도) 젊은 어미가 결단을 내렸을 것이다. 다들 못 본 척했을 것이다. 아무도 울지 못했을 것이다.

“울음을 터뜨린 한 영아를 삼킨 곳.”이 대목이 문제적이다. 왜 익사시켰다고 하지 않고, 바다가 젖먹이를 삼켰다고 했을까. 나는, 시인이 피붙이를 물속으로 집어넣은 어미를 적극 변호한 것이라고 이해한다. 어미에게 무슨 죄가 있느냐는 항변이다. 시 제목이 <민간인>이다. 비극의 원인 제공자는 따로 있다고, 시인은 말하고 싶었던 것이리라.

마지막 행 또한 의미심장하다. 20여 년이 지났지만(이 시는 1977년에 발표됐다) 아무도 그 수심을 모른다는 것인데, 이때의 수심(水深)을 우리는 살아남은 자의 수심(愁心)으로 읽어야 한다. 고향과 피붙이를 잃은 일가족은 그 후 어떤 생을 살아냈을까. ‘민간인’의 쓰라린 가족사를 상상하는 능력이 없다면, 우리는 어쩌면 민간인이 아닐지도 모른다.


이문재 (시인)
 

Copyright © 농민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