꺼도 꺼도 불붙은 테슬라 차, 1만 7천 L 물웅덩이 넣어 겨우 진화

유영규 기자 2022. 6. 24. 10:00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폐차 처리된 미국의 한 테슬라 전기차에서 계속해서 불이 나자 소방관들이 물웅덩이를 만들어 겨우 진화하는 일이 벌어졌습니다.

23일(현지시간) 워싱턴포스트(WP) 등에 따르면 캘리포니아주 새크라멘토 소방관들은 최근 테슬라 차 화재를 진압하느라 진땀을 뺐습니다.

이에 대해 새크라멘토 소방서는 실제로 전기차 화재를 진압하는데 필요한 물의 양은 7만 6천∼11만 L에 달할 것이라며 이번에는 불이 난 테슬라 차를 웅덩이에 집어넣었기 때문에 물을 아낄 수 있었다고 말했습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폐차 처리된 미국의 한 테슬라 전기차에서 계속해서 불이 나자 소방관들이 물웅덩이를 만들어 겨우 진화하는 일이 벌어졌습니다.

23일(현지시간) 워싱턴포스트(WP) 등에 따르면 캘리포니아주 새크라멘토 소방관들은 최근 테슬라 차 화재를 진압하느라 진땀을 뺐습니다.

충돌 사고로 폐차장에 옮겨진 테슬라 차에서 이유를 알 수 없는 발화가 발생했고, 물을 뿌려서 아무리 꺼도 배터리 칸에서 다시 불길이 살아났기 때문입니다.

애를 먹던 소방관들은 결국 배터리에서 방출되는 가스와 열기로 불이 계속 붙을 수 있다고 결론 내고 고민 끝에 한가지 묘책을 생각해냈습니다.

배터리 자체가 물에 잠길 수 있도록 웅덩이를 만들기로 한 것입니다.

소방관들은 트랙터를 이용해 땅을 판 뒤 여기에 물을 채운 뒤 테슬라 차를 이 물웅덩이에 집어넣어 불길을 잡았습니다.


소방당국은 웅덩이에 채운 물은 1만 7천 L로, 웬만한 건물 화재 진압에 사용되는 양과 맞먹는다며 소방관 12명이 1시간 넘게 진화했다고 밝혔습니다.

파커 윌본 소방서 대변인은 전기차 화재는 소방관들이 이전에는 접해보지 못한 완전히 새로운 유형의 과제라며 전기차 화재 진압에 골머리를 앓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테슬라의 긴급 대응 가이드라인에 따르면 세단 모델S 배터리에서 화재가 발생할 경우 배터리에 직접 물을 뿌려 불을 끄는데 꼬박 24시간이 걸리고, 1만 1천∼3만 L의 물이 필요합니다.

이에 대해 새크라멘토 소방서는 실제로 전기차 화재를 진압하는데 필요한 물의 양은 7만 6천∼11만 L에 달할 것이라며 이번에는 불이 난 테슬라 차를 웅덩이에 집어넣었기 때문에 물을 아낄 수 있었다고 말했습니다.

기존 내연기관보다 전기차에 불이 났을 때 진화 시간과 물이 훨씬 많이 든다는 지적은 여러 차례 제기됐습니다.

지난해 4월 미국 텍사스주에서 테슬라 모델S 차량이 충돌 사고 뒤 화염에 휩싸여 소방대가 7시간동안 약 10만 6천 L의 소방수를 쏟아부은 뒤에야 불이 꺼졌습니다.

이 소방수의 양은 미국 일반 가정이 2년간 쓰는 양과 맞먹습니다.

일반 내연기관 차는 불을 끌 때 전기차의 100분의 1 정도인 1천 L의 소방수가 필요합니다.

 (사진=새크라멘토 소방서 페이스북 캡처, 연합뉴스)

유영규 기자sbsnewmedia@sbs.co.kr

Copyright ©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