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 이상 버티기 어렵다" 빚투 개미들 비명..내일 '역대급 반대매매' 쏟아지나

박상길 2022. 6. 23. 17:04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코스피와 코스닥이 이틀 연속 연저점으로 추락한 23일 오후 서울 중구 하나은행 본점 딜링룸에서 직원이 업무를 보고 있다. <연합뉴스>
시민들이 서울 명동의 환전소 앞을 지나가고 있다. <연합뉴스>

23일 원·달러 환율이 약 13년 만에 1300원을 돌파한 가운데 코스피와 코스닥도 이틀 연속 연저점으로 추락했다.

이날 코스피는 전 거래일보다 28.49포인트(1.22%) 내린 2,314.32에 장을 마쳤다. 종가는 2020년 11월 2일 2300.16 이후 1년 7개월여 만에 가장 낮은 수준이다.

지수는 전장보다 5.03포인트(0.21%) 오른 2,347.84로 개장한 후 등락을 거듭하며 불안한 장세를 이어갔다. 장 초반 2361.23까지 올랐다가 이날 오후 들어 2306.48까지 낙폭을 키워 전날 기록한 연저점(2,342.81)도 새로 썼다.

유가증권시장에서는 개인과 외국인이 각각 6722억원, 2959억원을 순매도했다. 외국인은 5거래일 연속 코스피 매도 우위를 유지했다.

기관은 9267억원어치를 순매수했으나 지수 방어에는 역부족이었다. 지난주 미국 연방준비제도(연준·Fed)가 기준금리를 0.75%포인트 올리는 공격적인 긴축에 나선 이후 불거진 경기 침체 공포에 투자심리가 극도로 위축된 상태다. 이 와중에 연준이 긴축 의지를 재확인하는 동시에 경기 침체 가능성도 거론하면서 경기 둔화 우려가 재부각됐다.

전날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은 상원 은행위원회에 출석해 물가 하락 증거가 보일 때까지 지속해서 금리를 올리겠다고 밝혔다. 동시에 금리 인상 여파로 경기 침체가 발생할 가능성도 있다고 언급했다.

설상가상으로 원화 약세 심화가 외국인 수급에 악재로 작용했다. 이날 원·달러 환율은 전날보다 4.5원 오른 1,301.8원에 마감했다. 원·달러 환율의 1300원 돌파는 2009년 7월 14일(장중 고가 기준 1303.0원) 이후 12년 11개월여 만이다. 게다가 이달 들어 대체로 매수 우위를 보인 개인 투자자들이 투매에 나서면서 시장에 하방 압력을 가했다. 반대매매 물량도 대거 쏟아진 것으로 추정된다.

미래에셋증권 관계자는 "국내 지수 변동성 확대로 안전자산 선호 심리가 확대하며 원화 약세가 지속됐다. 미국 증시가 경기 불안 심리 지속으로 하락 마감한 점도 부담이었으며, 개인 수급 불안으로 변동성이 확대됐다"며 말했다.

대신증권 관계자는 "특별한 이슈성 재료에 따른 반응보다는 수급 요인으로 코스피 변동성이 확대됐다. 오늘은 개인 투자자들의 반대매매와 실망 매물이 대거 출회된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반도체 업황 불안이 이어지는 가운데 '대장주' 삼성전자는 0.35% 내린 5만7400원에 마감했다. 장중에는 5만6800원까지 떨어지며 재차 52주 신저가를 경신했다. SK하이닉스도 2.17% 하락한 9만200원에 마감했다. 장중 한때 8만9700원까지 낙폭을 키워 역시 52주 신저가를 갈아치웠다.

시가총액 상위권에서 카카오(-2.04%), 포스코홀딩스(-3.51%), 신한지주(-3.33%), SK이노베이션(-4.56%), 삼성생명(-2.40%), HMM(-5.51%), 현대중공업(-5.78%), S-Oil(-3.33%) 등의 하락 폭이 두드러졌다.

반면 대표 경기 방어주 SK텔레콤(3.08%), 원전 정책 수혜주로 엮인 두산에너빌리티(5.30%) 등은 큰 폭으로 올랐다. 크래프톤(1.93%)과 엔씨소프트(3.46%) 등 주요 게임주도 상승했다. 업종별로는 통신(1.77%)만 강세를 보이고 종이·목재(-4.63%), 비금속광물(-4.51%), 건설(-3.67%), 운수창고(-3.60%), 철강·금속(-3.43%) 등 대부분 약세였다.

코스닥지수는 전날보다 32.58포인트(4.36%) 급락한 714.38에 마감하며 전날(-4.03%)에 이어 이틀 연속 4%대 하락률을 기록했다. 종가는 2020년 6월 15일의 693.15 이후 최저치이자 연저점이다.

지수는 전날보다 0.53포인트(0.07%) 오른 747.49로 출발했으나 곧 하락 전환해 낙폭을 키웠다. 코스닥시장에서는 개인과 기관이 각각 640억원, 14억원을 순매도했다. 외국인은 726억원을 순매수했다.

코스닥 시총 상위권서는 위메이드가 신작 출시일 실망 매물에 20.80% 폭락했으며 에코프로비엠(-9.73%), 엘앤에프(-9.50%), 카카오게임즈(-7.89%) 등도 줄줄이 큰 폭으로 내렸다.

유가증권시장과 코스닥시장 하루 거래대금은 각각 10조1083억원, 8조7143억원 수준이었다. 코스피와 코스닥 합산 시가총액은 전날 2176조1654억원에서 2139조3261억원으로 36조8393억원 감소했다. 이날 유가증권시장에서 하락한 종목은 838개, 코스닥시장에서 하락한 종목은 1372개였다. 특히 코스닥 하락 종목 수는 지난 13일(1388개)에 이어 역대 두 번째로 많았다.박상길기자 sweatsk@dt.co.kr

Copyright © 디지털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