日 가부크스타일 "한일 여행 가교 되겠다"

조재학 2022. 6. 23. 17:01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일본 트래블 테크 스타트업 가부크스타일이 한국 시장에 진출한다.

코로나19로 닫혔던 하늘길이 열리면서 한국과 일본을 오가는 관광객이 급증할 것으로 전망돼서다.

가부크스타일은 먼저 일본에서 확보한 일본인 유저들을 대상으로 한국 관광사업을 벌이고, 향후 여행 구독 플랫폼 하프(HafH·Home away from Home)의 한국어 버전을 출시해 일본 여행을 준비하는 한국인들을 공략하겠다는 계획이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일본 트래블 테크 스타트업 가부크스타일이 한국 시장에 진출한다. 코로나19로 닫혔던 하늘길이 열리면서 한국과 일본을 오가는 관광객이 급증할 것으로 전망돼서다.

스나다 켄지 가부크스타일 대표는 최근 전자신문과 만나 “코로나19로 중단됐던 크로스보더(국경간거래)가 더 활발히 이뤄질 것으로 본다”며 이 같이 밝혔다.

가부크스타일은 먼저 일본에서 확보한 일본인 유저들을 대상으로 한국 관광사업을 벌이고, 향후 여행 구독 플랫폼 하프(HafH·Home away from Home)의 한국어 버전을 출시해 일본 여행을 준비하는 한국인들을 공략하겠다는 계획이다.

스나다 켄지(Sunada Kenji) 가부크스타일 대표.(가부크스타일 제공)

한일 양국 간 관광시장 잠재성이 크다는 평가다. 한일관계 악화와 코로나19 확산 이전인 2018년 한국을 방문한 일본인은 약 294만명이며, 방일 한국 여행객 수는 753만명에 달한다. 코로나19로 억눌렀던 관광수요가 다시 살아난다면 여행 플랫폼 시장이 더 커질 것이란 전망이다.

하프는 숙박 시설 구독 서비스다. 2019년 4월 출시 후 빠르게 확장하며 현재 36개국, 512개 도시로 전개했다. 메리어트·하얏트 등 글로벌 호텔체인부터 일본 지방 온천까지 약 1200개의 숙소를 제공하고 있다. 구독권은 유저의 라이프 스타일에 맞춰 다섯 가지의 멤버십 플랜을 가지고 있다. 스탠다드의 경우 8820엔(약 8만4000원)으로 3박 숙박권과 200하프코인(플랫폼 내 포인트)를 제공한다. 특히 일본 금융공학을 이용한 알고리즘을 통해 호텔의 마진과 플랫폼의 마진을 일정 수준으로 유지하는 게 가장 큰 특징이다.

스나다 대표는 하프의 강점으로 사용자경험(UX)을 꼽았다. 기존 온라인여행플랫폼(OTA)은 유저가 여행지를 설정하고 검색 시 수많은 숙박업체가 나열되고 상위에는 광고성 상품이 노출되는 반면 하프는 소수의 숙소를 추천하는 방식이다. 그는 “다양한 라이프스타일을 존중하는 플랫폼”이면서 “숙박시설과 일대일(1대1)로 직접 계약을 하기 때문에 합리적인 가격을 제공한다”고 말했다.

현재 유저는 약 3만6000명으로, 30대 이하가 74%를 차지할 만큼 젊은 세대에서 각광받고 있다. 일본 20·30세대 중 연간 4번 이상 여행을 떠나는 인구가 800만명에 달할 만큼 여행이 대중화를 이뤘다. 가부크스타일의 성장세도 가파르다. 지난해 매출은 전년 대비 7배 늘었고, 일본항공(JAL), 전일본공수(ANA), 피치항공 등과 항공 구독 서비스를 제공하는 등 사업 확장에도 박차를 가하고 있다. 엔데믹 시대를 맞아 한국 호텔 등과 파트너십을 맺고 한국 호텔 매니저 채용에 나서는 등 한국 진출도 본격화할 방침이다.

조재학기자 2jh@etnews.com

Copyright © 전자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