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엔비디아 배워라"..그룹 혁신 채찍질한 SK 최태원 회장

김성은 기자 2022. 6. 23. 16:37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사진=머니투데이DB

"기존 제조업 마인드를 완전히 버려야 한다. 이해 관계자의 신뢰와 지지를 얻는데 엔비디아 사례를 참고할 필요가 있다. 엔비디아는 현재 내는 매출액 대비 시장에서 받는 가치 평가는 더 높다. 혁신을 위해 선언에만 그칠 게 아니라 새 목표에 맞춰 조직을 바꾸고 실제 행동해 나서야 한다."

그룹 경영 전반에 '딥체인지'를 뿌리내리고 있는 최태원 SK 회장이 그룹 수뇌부 핵심 경영진을 대상으로 혁신의 중요성을 거듭 설파했다. '현재가 아닌 미래를 먹고 사는 기업'으로 평가받는 엔비디아 사례를 통해서다.

"혁신! 더, 더, 더···" 최태원 회장, 전 계열사에 실행과 속도 당부
23일 재계에 따르면 최 회장은 지난 17일 서울 광진구 워커힐호텔에서 열린 '2022 확대경영회의'에서 이같이 강조했다. 확대경영회의는 그룹 상반기 최대 전략회의로 꼽히며 주요 계열 최고위 경영진만 참석가능하다.

이번 확대경영회의에도 최 회장 뿐만 아니라 최재원 SK그룹 수석부회장, 조대식 SK수펙스추구협의회 의장, 박정호 SK하이닉스 부회장, 김준 SK이노베이션 부회장, 유정준 SK E&S 부회장, 장동현 SK 부회장 등 30여 명이 참석했다.

이날 회의는 시작부터 긴장감이 감돌았다는 후문이다. 환율, 원자재가가 올 상반기 내내 치솟은데다 증시가 큰 폭으로 내리고 금리도 상승하는 등 대외 여건이 좋지 않기 때문이다.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가중된 전세계 공급망 교란도 기업들을 짓누른다.

악조건에도 불구 이날 최 회장의 발언을 살펴보면 '변명'은 통하지 않았다. 최 회장은 "파이낸셜 스토리를 재구성하라" "경영 시스템 전반을 개선하라" "현재 사업 모델을 탈출하는 방식의 과감한 경영 활동에 나서라" 등 강도 높은 주문을 내놨다.

최 회장은 특히 '현실 안주'를 가장 경계했다. 최 회장은 "현재의 사업모델이나 영역에 국한해 기업 가치를 분석해서는 제자리 걸음만 하는 함정에 빠질 수 있다"며 "벤치마킹을 할 대상 또는 쫓아가야 할 대상을 찾거나 과감한 경영활동에 나서야 기업 가치를 높일 수 있다"고 거듭 강조했다.

엔비디아는? GPU 사업으로 시작해 인텔 시총 추월···AI·자율주행·메타버스 총망라
엔비디아 설파도 이와 연관돼 나온 것으로 풀이된다. 엔비디아는 1993년 대만 출신 미국인 젠슨 황 최고경영자(CEO)가 설립한 회사다. 그래픽처리장치(GPU) 전문기업으로 탄생했지만 이후 게임 뿐 아니라 데이터센터, 인공지능(AI), 가상현실(VR)로도 끊임없이 사업영역을 확장했다. 엔비디아의 사업영역은 사실상 고성능 그래픽카드가 쓰이는 4차산업영역 전반인데 최근에는 자율주행, 메타버스에까지 눈돌렸다. GPU가 가상화폐 비트코인 채굴에 쓰이며 실적과 주가 모두 큰 폭으로 뛰었었다.

2020년 7월, 엔비디아가 시가총액 2513억달러를 기록, 1968년 설립돼 컴퓨터 중앙처리장치(CPU) 절대 강자로 군림했던 인텔 시가총액을 꺾은 것은 업계 파란이었다. 당시 엔비디아의 매출액은 인텔의 5분의 1 수준에 불과했다. 시장이 그야말로 엔비디아의 미래만을 보고 그 성장성에 베팅한 것이다.

올 들어 엔비디아의 주가 흐름은 주춤하고 있다. 연초 대비 44.4% 내렸는데 반도체 공급망 불안, 전반적 증시 조정, 암호화폐 부진 여파 등이 복합적으로 영향을 끼쳤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엔비디아는 여전히 시가총액이 4090억달러(532조원)다. 2022년 회계연도(2021년 2월~2022년 1월) 매출액은 269억1400만달러(약 35조원)이다. 삼성전자가 지난해 엔비디아보다 훨씬 더 높은 약 280조원의 매출고를 올렸지만 현재 시가총액은 약 342조원으로 엔비디아보다 낮다.

한국투자증권에 따르면 엔비디아의 2022년 말 기준 PER(주가수익비율)은 59배에 달했다. PER는 주가가 1주당 순이익의 몇 배인지를 나타내는 지표로 수치가 높을수록 기업가치가 높단 뜻이다.

젠슨 황 CEO는 지난달 말 온라인 기자간담회를 통해 "향후 5년간 자율주행차말고도 우리가 누리는 어떤 것이든 자동화가 될 것"이라며 "엔비디아의 목표는 AI를 클라우드에서 물리 공간으로 가져오는 것"이라고 미래 비전을 밝히기도 했다.

SK는 이미 SKC, SK에코플랜트, SK이노베이션, SK케미칼 등 굵직한 기업들이 과감한 체질개선을 시도중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최 회장이 이처럼 엔비디아 사례를 언급한 것은 기존 패러다임을 과감히 깨부술 정도의 혁신을 촉구함과 동시에 이같은 방향성과 실천 의지가 시장으로부터 제대로된 가치 평가를 받도록 당부한 것으로도 해석된다.

한 재계 관계자는 "다양한 이해관계자의 신뢰와 지지를 얻는 혁신이란 결국 주가를 포함해 기업가치를 높이는 방향이라야 한다"며 "최 회장의 발언은 이를 위해 파이낸셜스토리를 좀 더 정교화하고, 실행방안에 대한 우선순위들을 선별해야 함을 지적한 것으로 풀이된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옥주현, 모든 걸 조율한 실세"…'엘리자벳' 캐스팅 뒷얘기 방송 재조명나훈아, 얼굴 72번 꿰맨 흉기 피습…범인은 '이 배우' 광팬이었다차지연, 안 하던 SNS 만든 이유가…'옥장판 논란' 때문?이혜영 "이하늬 결혼과 임신, 내 작품" 깜짝 고백…무슨 일?일라이, 돌연 '동거 거부'…당황한 지연수, 눈물 흘리며 설득
김성은 기자 gttsw@mt.co.kr

<저작권자 ⓒ '돈이 보이는 리얼타임 뉴스' 머니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pyright © 머니투데이 & mt.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