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박사 기자의 스포츠용어 산책 729] 왜 영어 'Throwing events'를 '투척종목(投擲種目)'이라 말할까

김학수 2022. 6. 23. 11:18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육상 투척 종목은 필드종목의 하나이다.

투척 종목은 포환(Shot Put), 원반(Discus), 해머(Hammer), 창(Javelin) 등 네가지 세부 종목으로 나뉜다.

투척종목은 던진다는 의미인 'throwing'과 종목들이라는 의미인 'events'가 합쳐진 영어 'Throwing events'를 옮긴 말이다.

투척과 종목이 합쳐진 투척 종목이라는 말은 일본에서 19세기 서양에서 육상을 도입하면서 만든 말이 아닐까 싶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정유선이 2019 목포국제육상투척경기대회 여자 포환던지기에서 투척 준비를 하는 모습. [대한육상연맹 제공]

육상 투척 종목은 필드종목의 하나이다. 투척 종목은 포환(Shot Put), 원반(Discus), 해머(Hammer), 창(Javelin) 등 네가지 세부 종목으로 나뉜다. 투척종목은 던진다는 의미인 ‘throwing’과 종목들이라는 의미인 ‘events’가 합쳐진 영어 ‘Throwing events’를 옮긴 말이다. 투척(投擲)은 한자어로 ‘던질 투(投)’와 ‘던질척(擲)’이 합쳐진 말이다. 손을 사용해 멀리 던진다는 뜻이다. 이 말은 창이나 검 등 주로 무기를 던진다는 의미로 주로 군사용으로 많이 쓴다. 조선왕조실록을 검색해보면 투척이라는 말이 36회 등장하는데 주로 군사적인 용도로 많이 사용했다. 종목(種目)도 한자어로 ‘’씨 종(種)‘과 ’눈 목(目)‘을 결합해 종류를 나눈다는 뜻이다.

투척과 종목이 합쳐진 투척 종목이라는 말은 일본에서 19세기 서양에서 육상을 도입하면서 만든 말이 아닐까 싶다. 정확히 언제부터 이 말을 쓴 지는 불분명하다. 우리나라 언론을 보면 일제강점기 시절부터 투척경기라는 말을 쓰고 있음을 알 수 있다. 1928년 9월25일자 조선일보는 ‘일불국제경기종료(日佛國際竸技終了) 78대(對)72로 일본(日本)이 우승(優勝)해’라는 제목의 기사에서 ‘제이일(第二日)에 득의(得意)의 투척(投擲) 중거리(中距離)에 필승(必勝)을 기약(期約)하고 회복(回復)에 분투(奮鬪)하얏스며 일본(日本)도 우승(優勝)을 기(期)하야 경기(競技)는 자못 백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report@maniareport.com

Copyright © 마니아타임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