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수영스타 드레슬, 결국 세계선수권 잔여 경기도 출전 포기

김학수 2022. 6. 23. 10:12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수영황제' 마이클 펠프스(미국)의 후계자로 불리는 케일럽 드레슬(26)이 결국 2022 국제수영연맹(FINA) 세계선수권대회 잔여 경기 출전도 포기하고 일찌감치 대회를 마쳤다.

AP 통신 등 외신은 23일(이하 한국시간) "미국수영연맹이 드레슬의 세계선수권대회 잔여 경기 출전 포기 결정을 알렸다"고 보도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2022 세계수영선수권대회를 마감하게 된 케일럽 드레슬. [로이터=연합뉴스]
2022 세계수영선수권대회를 마감하게 된 케일럽 드레슬.
[로이터=연합뉴스]
'수영황제' 마이클 펠프스(미국)의 후계자로 불리는 케일럽 드레슬(26)이 결국 2022 국제수영연맹(FINA) 세계선수권대회 잔여 경기 출전도 포기하고 일찌감치 대회를 마쳤다.

AP 통신 등 외신은 23일(이하 한국시간) "미국수영연맹이 드레슬의 세계선수권대회 잔여 경기 출전 포기 결정을 알렸다"고 보도했다.

이에 따르면 미국수영연맹은 "이번 결정은 드레슬과 그의 코치, 팀 의료진과 협의해 이뤄진 것"이라면서 "우리는 선수의 건강을 늘 최우선시하며, 드레슬의 조속한 회복을 위한 지원을 이어갈 것"이라고 밝혔다.

드레슬은 21일 헝가리 부다페스트에서 열린 대회 남자 자유형 100m 예선에서 47초95로 다비드 포포비치(루마니아·47초60)에 이어 전체 2위를 차지하고 16명이 겨루는 준결승에 올랐다.

하지만 준결승 경기를 두 시간 가량 앞두고 돌연 기권했다.

당시 미국 수영대표팀은 자세한 설명 없이 "의학적 이유로 드레슬과 그의 코치, 팀 의료진과 상의해 드레슬이 자유형 100m 경기에는 출전하지 않기로 했다"면서 "대표팀은 드레슬의 남은 경기 참가 여부도 결정할 것"이라고 밝혔다.

드레슬의 기권으로 자유형 100m 예선에서 공동 17위를 차지한 우리나라의 황선우(강원도청)가 준결승 출전 선수 명단에 포함돼 부랴부랴 경기에 나섰다.

드레슬은 이번 대회 자유형 50m와 접영 100m에도 출전할 예정이었다.

하지만 결국 이번 대회에서 그가 경기하는 모습을 더는 볼 수 없게 됐다.

AP 통신에 따르면 린지 민텐코 미국 선수단장은 취재진에게 "드레슬은 현재 경기를 할 수 있는 상태가 아니다. 그래서 우리는 조속히 이 같은 결정을 해야 했다"라고 말했다.

다만, 그는 드레슬의 출전 포기 결정이 정신적인 문제 때문인지, 육체적인 문제 때문인지에 대해서는 언급을 피했다.

드레슬은 2017년 부다페스트, 2019년 광주 세계선수권대회에서 각각 7관왕, 6관왕에 오르며 두 대회 연속 남자부 최우수선수(MVP)에 뽑힌 세계적 스타다.

지난해 열린 2020 도쿄올림픽에서도 5개의 금메달(자유형 50m·100m, 접영 100m, 계영 400m, 혼계영 400m)을 목에 걸었다.

이번 대회에서도 남자 접영 50m에서 대회 2연패를 이루고 계영 400m에서 미국의 3연패를 합작했으나 더는 메달 레이스를 펼칠 수 없게 됐다. [연합뉴스=종합]

<figure class="image-zone" data-stat-code="mapping_photo" style="margin: 0px; padding: 0px; font: inherit; position: relative;">

[김학수 마니아타임즈 편집국장 kimbundang@maniareport.com]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report@maniareport.com

Copyright © 마니아타임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