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마철 집중호우·폭염 '본격'.."농작물 관리 '이렇게'"

이종완 2022. 6. 22. 19:40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KBS 전주] [앵커]

여름철 장마와 폭염은 한 해 농작물 작황을 좌우할 정도로 큰 영향을 미치는데요.

미리 대비하면 피해를 줄일 수 있습니다.

이종완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최근 전북지역에 갑작스레 쏟아진 국지성 폭우는 과실나무 곳곳에 열매터짐 현상 등 큰 피해를 줬습니다.

가뭄 뒤 갑자기 많은 양의 수분이 유입되면서 발생한 건데, 장마가 본격적으로 시작되면 더 잦아질 수 있습니다.

이 때문에 장마 시작 전 도랑을 만들어 물이 잘 빠지도록 하고, 토양 수분량이 급변하지 않도록 관수시설을 이용해 적절한 습도를 유지해야 합니다.

이미 터진 열매는 병원균 포자에 감염되기 쉬워 빨리 제거하는 게 좋습니다.

[송장훈/농촌진흥청 농업연구관 : "비가 많이 왔을 때는 물고랑을 정비해서 물을 순식간에 빼주는 작업들을 해줌으로써 열매터짐 현상을 앞으로 예방할 수…."]

장마가 끝나고 폭염이 기승을 부리면 농작물 피해 예방을 위해 할 일이 더 많아집니다.

강한 햇볕과 고온이 지속되면 열매 표면이 햇볕에 데는 피해가 발생하는데, 이때 수분이 부족하면 피해가 더 커집니다.

이때 토양 수분관리는 물론, 열매가 너무 많이 달리지 않도록 장마 전 열매 양을 조절해야 합니다,

미세 살수장치나 방제차를 이용해 물이나 탄산칼슘액을 자주 뿌리거나 차광망을 설치하면 직사광선과 자외선 차단에 큰 도움이 됩니다.

[정재훈/농촌진흥청 농업연구사 : "탄산칼슘을 살포하면 자외선을 차단할 수 있습니다. 그래서 자외선을 차단하면 과피의 온도를 떨어뜨릴 수 있기 때문에…."]

농촌진흥청은 장마철 물 빠짐이 좋지 않은 과수원의 경우 겨울철 퇴비와 함께 왕겨나 톱밥 등을 투입하면 토양 통기성 확보에 도움이 된다고 조언했습니다.

KBS 뉴스 이종완입니다.

촬영기자:김동균

이종완 기자 (rheejw@kbs.co.kr)

Copyright © KB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