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유의 '치안감 인사' 번복 논란..경찰 길들이기?

임성재 2022. 6. 22. 18:13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정부, 어제 오후 7시 14분 경찰 치안감 인사 발표
갑작스러운 인사 발표..인사 대상 28명에 달해
경찰청, 출입기자단에 구체적인 경위 재차 설명
대통령실·행안부·경찰청 사이 '의사소통' 미흡

[앵커]

행정안전부가 '경찰 통제' 권고안을 발표한 어제 경찰 고위직인 치안감 승진 인사를 발표했습니다.

그런데 불과 2시간 만에 다시 일부 인사 발표를 번복하는 초유의 사태가 발생해 논란이 일고 있는데요.

경찰의 해명이 오락가락한 가운데 이상민 행안부 장관은 이번 사태가 경찰 때문이라고 책임을 넘겼습니다.

취재기자 연결해 자세한 이야기 들어보겠습니다. 임성재 기자!

우선, 인사 발표 당시 상황 자세히 설명해주시죠.

[기자]

최초 치안감 인사가 발표된 건 어제 오후 7시 14분입니다.

통상 경찰 인사 전에는 충분한 시간을 두고 사전 예고가 이뤄지는데, 이번엔 불과 하루 전, 그것도 오후 늦게 공지하면서 혼란스러운 상황이 이어졌습니다.

인사 대상도 28명에 달할 정도로 작지 않은 규모였는데 대상자들이 이임식을 할 새도 없이 급하게 짐을 싸느라 소동을 빚었다는 후문입니다.

그런데 문제는 여기서 끝이 아니었습니다.

인사 발표 불과 2시간 만에 김준철 광주경찰청장과 정용근 충북경찰청장 등 7명에 대한 인사를 번복하면서 논란이 일파만파 커졌습니다.

경찰 골프장 예약 특혜 의혹이 제기됐던 이명교 서울경찰청 자치경찰차장은 첫 인사 명단에는 없었는데 두 번째 인사에서 중앙경찰학교장으로 발령나기도 했습니다.

경찰청은 애초 실무자의 실수였다고 설명했다가 행안부로부터 잘못된 안을 받았다고 말을 바꾸는 등 오락가락 해명으로 더 큰 논란을 자초했는데요.

오늘 출입기자단에 재차 구체적인 경위를 설명했습니다.

경찰청에서 행안부로 파견된 치안정책관이 협의 중이던 인사안을 메일로 보냈는데, 경찰청에선 이를 최종안으로 알고 발표하면서 대통령 결재도 받지 않은 인사안이 공지됐다는 겁니다.

경찰청 관계자는 대통령실, 행안부, 경찰청 사이에 제대로 된 의사소통이 이뤄지지 않았기 때문이라고 설명했습니다.

하지만 잘못된 인사안 발표 뒤 두 시간 동안이나 정정 조치가 없었다는 점에 대해 비판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이상민 행안부 장관도 경찰청이 희한하게 대통령 결재 전 자체적으로 먼저 공지해 이 사달이 났다고 말하기도 했습니다.

[앵커]

공교롭게도 치안감 인사 발표 날이 행안부 자문위의 권고안이 발표된 날이기도 하잖아요.

경찰 내부 반응은 어떻습니까?

[기자]

권고안이 발표된 날 돌연 경찰 고위직에 해당하는 치안감 인사가 발표되고 사상 초유의 번복 사태까지 일어나면서 논란은 커지고 있습니다.

경찰 내부망에는 경찰을 무시하는 졸속 인사라는 의견이 잇따르고 있습니다.

한 경찰 관계자는 행안부 통제 속에 경찰국이 출범하면 이런 비정상적인 인사가 빈번하게 발생할 수 있다는 사실을 단적으로 보여준다고 분통을 터뜨렸습니다.

또, 총경이나 경정 인사 때도 이런 일이 반복되지 않으리라고 누가 장담할 수 있겠느냐는 의견도 나왔습니다.

일각에서는 행안부의 경찰 통제 움직임에 오락가락 고위직 인사까지 현 정부가 경찰 길들이기에 나선 것이란 지적이 나옵니다.

지금까지 사회1부에서 YTN 임성재입니다.

YTN 임성재 (lsj621@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 YTN plu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pyright © YTN.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