밝게 그려낸 공포·불안..전쟁·폭동의 '유쾌한 뒤집기'

김보라 2022. 6. 22. 17:56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인생은 멀리서 보면 희극, 가까이서 보면 비극'이라고 했던가.

독일 회화 작가 다니엘 리히터(60·사진)의 그림은 찰리 채플린의 이 명언을 증명하는 것처럼 보인다.

리히터는 이런 사조에 휘말리지 않고 회화 작업에 몰두했다.

독일의 한 공원을 배경으로 19세기 프랑스 회화 기법을 활용한 '투아누스'(2000)도 여러 사람이 흥겨운 시간을 보내는 것처럼 보이지만, 마약 중독자들을 단속하는 경찰의 모습을 그린 것이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獨 '괴짜작가' 다니엘 리히터
마곡서 아시아 첫 개인전
스페이스K, 대표작 25점 전시
31세 늦깎이 미대서 그림 배워
거친 화풍으로 사회적 이슈 담아
추상회화의 자유로운 실험
폭탄테러·마약 단속 장면 등
열화상 카메라 촬영처럼 표현
"예술은 기존 상식 깰 수 있어야"
서울 마곡동의 스페이스K에 전시된 독일 회화 작가 다니엘 리히터의 2000년 작 ‘피녹스’(왼쪽)와 ‘투아누스’. /스페이스K 서울 제공


‘인생은 멀리서 보면 희극, 가까이서 보면 비극’이라고 했던가. 독일 회화 작가 다니엘 리히터(60·사진)의 그림은 찰리 채플린의 이 명언을 증명하는 것처럼 보인다. 과감한 네온사인의 이미지와 다채로운 색으로 시선을 사로잡지만 그 안에 담긴 메시지에는 사회의 문제의식, 비주류의 고독이 숨어 있다.

리히터의 아시아 첫 개인전 ‘나의 미치광이 이웃(My Lunatic Neighbar)’이 23일부터 서울 마곡동 스페이스K에서 열린다. 그의 화풍을 시대별로 볼 수 있는 대표작 25점이 걸린다. 리히터는 지난 21일 영상인터뷰에서 “예술의 사회적 역할은 당대 상황이나 환경에 의해 규정된다”며 “지난 10~12년 동안 자유로운 사회에서 상상할 수 없는 것을 상상하게 만들고, 사람들을 놀라게 하는 지점을 찾기 위해 정치·사회적 이슈를 창작의 영감으로 삼았다”고 말했다.

 베를린 장벽 무너진 뒤 미술 공부

1989년 11월 베를린 장벽의 붕괴는 리히터가 시각예술가로 접어들게 된 계기였다. 그는 당시 사회가 완전히 바뀌었다고 생각했고, 스스로도 변화해야 한다고 결심했다. 1991년 31세의 나이에 함부르크 미대에 입학해 정식으로 그림을 배웠다. 이전까지는 독일 록밴드의 포스터와 표지 작업을 했다.

1990년대는 설치미술과 미디어아트, 개념미술이 꽃을 피우던 시기다. 리히터는 이런 사조에 휘말리지 않고 회화 작업에 몰두했다. 단순 추상 회화 같았던 그의 작업에 서사가 덧입혀지며 세계적인 작가로 거듭났다.

리히터의 작품 세계는 그야말로 방대하다. 규칙도 없다. “내가 뭘 하고 있는지 깨닫는 순간 지루해진다”는 작가의 말처럼 특정 시기마다 회화의 장르가 다양하게 변주된다. 1990년대 추상회화의 자유로움을 실험했다면, 2000년대 들어선 사회적 이슈를 환각적이면서도 거친 화풍으로 그려냈다.

이번 전시에 걸린 ‘피녹스’(2000)는 1998년 케냐와 탄자니아에서 동시에 벌어진 미국 대사관 폭탄 테러에서 영감을 얻은 작품이다. 보기에 따라 베를린 장벽 붕괴의 메시지가 담긴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형광색을 덧입히고 사람들의 형체를 뭉개 멀리서 보면 열화상 카메라로 찍은 파티 장면 같다.

 “전쟁과 파티 멀리서 보면 똑같아”

독일의 한 공원을 배경으로 19세기 프랑스 회화 기법을 활용한 ‘투아누스’(2000)도 여러 사람이 흥겨운 시간을 보내는 것처럼 보이지만, 마약 중독자들을 단속하는 경찰의 모습을 그린 것이다. 작가의 눈에는 폭동과 축제, 전쟁과 파티의 모습이 멀리서 보면 크게 다르지 않았다.

그는 “예술은 기존의 상식과 지식을 깰 수 있어야 한다”고 말한다. 전시 제목에서 이웃의 영어 철자를 neighbor가 아닌 neighbar로 변형한 것도 같은 맥락이다.

2011년엔 작가는 ‘낭만’이란 주제를 탐구했다. ‘그러나 너를 돕는 건 내 본성에 어긋나, 늑대가 말했다’(2011)는 19세기 독일 낭만주의 화가 카스파르 다비드 프리드리히의 대표작을 연상시킨다.

작가는 2015년 이후 추상성이 강하게 드러나는 회화로 또다시 변화를 시도했다. 인체의 형상에 집중하면서 나이프, 붓 등을 자유롭게 활용한다. 강렬한 색과 선으로 인물의 행동을 단순하고 생동감 있게 표현한다. 강한 실루엣과 원색의 표현이 인상적인 ‘눈물과 침’(2021)이 대표작이다. 1차 세계대전 때 다리 잃은 두 소년 병사가 목발을 짚고 걸어가는 엽서 사진을 참조했는데 그림 속 인물들은 펑크 스타일의 화려한 나비처럼 역동적인 존재로 읽힌다. 전시는 오는 9월 28일까지.

김보라 기자 destinybr@hankyung.com

경제지 네이버 구독 첫 400만, 한국경제 받아보세요
한국경제신문과 WSJ, 모바일한경으로 보세요

Copyright © 한국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