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년간 주가 횡보' 켈로그, 3개사로 쪼갠다

노유정 2022. 6. 22. 17:22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116년 장수 기업의 변신
전체 매출의 80% 차지하는
글로벌 스낵 사업 남기고
시리얼·식물성 식품 분할
주가 2%↑..시장 긍정적 평가
인플레로 생산비 부담 늘어
'선택과 집중'으로 효율 극대화
이 기사는 국내 최대 해외 투자정보 플랫폼 한경 글로벌마켓에 게재된 기사입니다.

콘푸로스트, 프링글스 등으로 알려진 미국 식품기업 켈로그가 회사를 3개로 분할한다. 급변하는 먹거리 시장에서 빠르고 효율적으로 사업을 운영하기 위한 전략이다. 지난 수십 년간 인수합병(M&A)으로 덩치를 키워온 식품업계의 성장 전략이 ‘선택과 집중’으로 바뀌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시리얼에서 스낵으로 주력 바꿔

켈로그는 글로벌 스낵과 북미 시리얼, 식물성 식품 등 3개 사업을 분리해 별도 법인을 세우겠다고 21일(현지시간) 발표했다. 연 매출 114억달러(약 14조8000억원)로 전체의 약 80%를 차지하는 글로벌 스낵 사업을 남기고 나머지 두 부문을 분사하는 방식이다.

켈로그는 기업 분할을 내년 말까지 완료할 예정이다. 새로 만들어지는 법인의 명칭과 경영진은 향후 정하기로 했다. 스티븐 캐힐레인 켈로그 최고경영자(CEO)는 “세 사업 모두 잠재력이 있다”며 “(독립 법인이 되면) 각 사업의 우선순위에 따라 자원을 더 효과적으로 투입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급성장하는 스낵시장에 집중하는 동시에 최근 부진한 미국 내 시리얼 사업 경쟁력을 키우기 위한 조치라는 것이 켈로그 측 설명이다. 최근 소비자들의 식습관 변화와 함께 스낵과 시리얼의 실적은 엇갈리고 있다. 끼니 사이에 먹는 과자시장은 세계적으로 성장하는 반면 시리얼은 아침 식사의 대체재가 늘어 고전하고 있다. CNBC는 “이번 기업분할은 켈로그의 주력 사업이 (시리얼에서) 스낵으로 바뀌었다는 의미”라고 해석했다.

시장의 평가는 긍정적이다. 이날 뉴욕증시에서 켈로그 주가는 전일보다 1.95% 오른 68.86달러에 마감했다. 개장 전 시간외거래에서는 8% 뛰기도 했다. 켈로그 주가는 올 들어 6.5% 상승했다. 올 들어 S&P500지수가 22% 하락한 점을 고려하면 선방한 셈이다.

 식물성 식품 매각설도

1906년 설립된 켈로그는 116년 전통의 장수 기업이다. 지난해 전체 매출은 약 142억달러(약 18조5000억원)다. 이렇게 역사가 오래된 거대 기업이 분할하는 사례는 최근 드물지 않다. 지난해 제너럴일렉트릭(GE)과 존슨앤드존슨이 기업 분할을 발표했다. 캐힐레인 CEO가 기업분할 결정에 참고했다고 밝힌 GE는 2024년까지 회사를 항공과 헬스케어, 에너지 등 3개 부문으로 나누기로 했다.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악화된 재무구조를 개선하기 위한 고육지책이다.

135년 역사의 존슨앤드존슨도 소비자 제품과 제약 부문으로 회사를 분할할 계획이다. 빠른 의사결정을 내려야 급변하는 시장에서 살아남을 수 있다고 판단했기 때문이다. 소비자 제품 부문엔 진통제 타이레놀과 밴드에이드 반창고 등 사업이 편입된다. 제약 부문은 코로나19 백신 등 처방약과 의료기기 제조 사업을 운영한다.

그간 식품업계 주요 경쟁력은 보유 브랜드 수였다. 브랜드 수가 많은 기업이 경쟁력이 높다고 봤다. 하지만 최근 기류가 바뀌고 있다. 파이낸셜타임스(FT)는 “수십 년간 식품업계에서는 포트폴리오를 확장하면 자연스럽게 마케팅과 유통 과정에서 이득을 누릴 수 있다고 여겼으나 최근 들어 덩치가 큰 기업은 오히려 좋은 평가를 받지 못하는 경우도 많다”고 분석했다.

켈로그의 최근 5년간 주가는 50~75달러 사이를 횡보하고 있다. 반면 같은 기간 사탕과 스낵에 집중한 경쟁사 몬델리즈 주가는 33% 올랐다.

최근 미국을 덮친 41년 만에 최악의 인플레이션도 켈로그의 기업 분할 결정에 영향을 미친 요인으로 꼽힌다. 밀가루 등 재료와 물류 비용, 인건비 등 생산비용이 급등해 식품업계도 어려움을 겪고 있다. 비대해진 포트폴리오를 축소해 비용을 절감하는 것이 현명한 선택일 수 있다는 분석이다. 이날 외신들은 켈로그가 식물성 식품 사업 부문을 매각할 가능성이 있다고 보도했다.

노유정 기자 yjroh@hankyung.com

경제지 네이버 구독 첫 400만, 한국경제 받아보세요
한국경제신문과 WSJ, 모바일한경으로 보세요

Copyright © 한국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