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0개 기업 기술 결집..'뉴 스페이스 시대' 진입

김혜은 2022. 6. 22. 15:34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앵커]

누리호 2차 발사 성공에는 우리나라 300개 기업의 다양한 기술력이 총결집돼 큰 힘을 발휘했습니다.

국가가 아닌 민간 기업이 우주 개발을 주도하는 뉴 스페이스 시대에, 우리도 한층 경쟁력을 갖추게 됐습니다.

김혜은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누리호에 들어간 부품은 무려 37만여 개.

우리나라 기업 300여 곳, 연구진 천여 명이 힘을 보탰습니다.

누리호 설계부터 부품, 조립, 성능 검증과 발사 운용까지 모두 국내 기술로 이뤄냈습니다.

대기업부터 중소기업까지 총출동했습니다.

[주정갑/ 누리호 위성항법 수신기 개발 기업 선임연구원 : 국가의 큰일이다 보니 우리의 기술력을 널리 알릴 수 있는 일이기 때문에 저희가 도전하게 된 것 같습니다.]

참여기업에 쓰인 비용은 전체 사업비의 80% 수준인 1조 5천억 원.

단순 비교해도 나로호 때 1,775억 원의 8배가 훌쩍 넘습니다.

정부는 이제 발사체 고도화 사업을 통해 기술을 민간으로 이전할 계획입니다.

민간이 우주개발을 주도하는 '뉴 스페이스 시대'로 전환하겠다는 겁니다.

이미 미국의 스페이스X와 블루 오리진, 영국의 버진 갤럭틱 등이 치열하게 경쟁하며 '뉴 스페이스 시대'를 열었습니다.

특히, 위성통신과 위성인터넷 등 위성데이터를 분석하는 기술이 폭발적으로 성장할 것으로 보이면서, 우주산업은 그야말로 블루오션입니다.

[이창진 / 건국대 기계항공공학부 교수 : 민간기업이 하드웨어 쪽으로 (참여)하는 것도 괜찮지만, 활용이나 그것을 이용한 정보분석이라든가 이런 데 (노력을) 기울인다면 오히려 전 세계를 대상으로 글로벌 비즈니스를 할 수 있지 않을까.]

지난해 기준으로 전 세계 우주산업은 530조 원 규모입니다.

우리나라는 3조2천억 원 정도로, 아직 전 세계 시장의 1%에도 미치지 못하고 있습니다.

누리호의 화려한 성공을 발판으로, 이제 'K 스페이스 산업'이 한 단계 더 도약하는 일만 남았습니다.

YTN 김혜은입니다.

YTN 김혜은 (henism@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 YTN plu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pyright © YTN.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