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것'만 잘 지켜도 갱년기 증상 줄일 수 있다

이병문 2022. 6. 22. 11:36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강북삼성병원 연구팀 "금연·체중감량 등 심혈관건강유지 중요"

폐경 전 갱년기 여성에서 이상적인 심혈관 건강수칙을 잘 지킨 사람이 안면홍조 및 야간발한 증상을 예방할 수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강북삼성병원 데이터관리센터 류승호·장유수 교수, 최혜린 박사 연구팀은 2014~2018년 강북삼성병원 종합건진센터를 방문한 42세 이상 52세 이하의 폐경 전 갱년기 여성 2,500여명을 대상으로 평균 4.5년의 추적 분석한 결과, 건강한 생활습관을 가지고 있는 사람(5~6점)에 비해 건강하지 않은 생활습관(0~2점)을 가진 사람에서 폐경 전 혈관운동증상이 발생할 위험이 약 41% 더 높았고, 특히 중등도 이상의 심각한 혈관운동 증상이 발생할 위험은 약 57%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고 22일 밝혔다. 즉, 높은 심혈관 건강점수를 잘 유지하는 것이 추후 발생할 혈관운동증상을 예방할 수 있다는 것이다. 연구결과는 미국 내분비학회의 공식 학술지인 임상 내분비 및 대사 저널(Journal of Clinical Endocrinology and Metabolism, IF=5.958)에 게재됐다.

연구팀은 미국심장협회에서 정의한 이상적인 심혈관 건강 수칙(비흡연 또는 과거흡연, 체질량지수<23kg/㎡, 중등도 이상의 신체활동량, 총 콜레스테롤 <200mg/dL, 혈압 <120/80 mmHg, 공복혈당 <100mg/dL, 건강한 식습관) 에 1점씩 점수를 매겨 점수가 높을수록 이상적인 심혈관 건강습관을 가지고 있다고 간주했다. 또한 갱년기 증상 중 혈관운동증상인 안면홍조 및 야간발한은 설문조사를 통해 측정했으며, 1점부터 7점까지 척도 중 3점 이상의 괴로움을 느끼는 경우 중등도 이상의 혈관운동증상이 있다고 정의했다.

류승호 교수는 "안면홍조 및 야간발한 등 혈관운동증상은 갱년기 여성의 약 80% 가량이 경험하며, 상당수 여성이 일상생활에 불편감을 호소함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 뚜렷한 치료 및 예방법이 없었다"며 "이번 연구는 갱년기 증상에 대해 처음으로 예방에 초점을 맞춘 연구"라고 이번 연구가 주는 의미를 강조했다. 장유수 교수는 "앞으로도 갱년기 증상 예방 연구를 통해 중년여성의 삶의 질을 높이는데 기여하기 위해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 연구는 질병관리청 국립보건연구원의 갱년기 여성의 만성질환 위험요인 규명을 위한 전향적 연구사업의 지원으로 수행됐다.

[이병문 의료선임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pyright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