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신보 "北, 강경엔 초강경으로..강대강 지속시 불측사태"

이정진 2022. 6. 22. 08:56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북한의 입장을 대변하는 재일본조선인총연합회(조선총련) 기관지 조선신보는 22일 북미관계와 관련, "군사적인 강대강이 지속되면 불측(예측불가)의 사태를 불러일으킬 수 있다"고 위협했다.

신문은 이날 '강대강, 미국을 제압하는 힘의 축적' 제하의 글에서 "조선(북한)은 정면승부의 기치 아래 만단의 태세를 갖추어나가고 있다"면서 이렇게 주장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자위조치 강도 더 높아질 것".."이제와 대화 호소해도 호응 못받아"
"강대강 실천, 첨단무기 개발·미사일 시험발사만이 아냐"..핵실험 시사 관측도
조선신보 "北, 강경엔 초강경으로…강대강 지속시 불측사태" [EPA=연합뉴스 자료사진]

(서울=연합뉴스) 이정진 기자 = 북한의 입장을 대변하는 재일본조선인총연합회(조선총련) 기관지 조선신보는 22일 북미관계와 관련, "군사적인 강대강이 지속되면 불측(예측불가)의 사태를 불러일으킬 수 있다"고 위협했다.

신문은 이날 '강대강, 미국을 제압하는 힘의 축적' 제하의 글에서 "조선(북한)은 정면승부의 기치 아래 만단의 태세를 갖추어나가고 있다"면서 이렇게 주장했다.

이어 "미국은 진퇴양난에 빠졌다. 시간이 흐를수록 저들의 군사적 허세가 허물어져 가는데 이제 와서 선대선을 기대하며 대화를 호소해도 호응을 받지 못한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조선은 미국의 적대시 정책이 철회되기 전에는 마주 앉지 않겠다는 입장을 명백히 밝혔다"고 강조했다.

신문은 미국 바이든 정부가 북한의 국방력 강화를 문제 삼으며 "선대선의 길을 택하지 않았다"면서 강대강 국면을 초래한 것은 미국이라고 억지를 부렸다.

북한 - 미국 강대강 (PG) [제작 최자윤] 일러스트

이어 "미국이 구태의연한 강경책으로 대응하는 것은 자멸을 자초하는 악수"라면서 "상대가 강경으로 나오면 초강경으로 맞서는 것이 역사를 통해 확인된 조선 특유의 행동방식"이라고 주장했다.

신문은 "앞으로 국가의 안전 환경이 위협되고 주변정세가 격화될수록 자위를 위한 행동조치의 강도는 더 높아질 것이 예상된다"고 전망했다.

신문은 이달 초 노동당 전원회의에서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공화국 무력'과 '국방연구부문'에서 강행 추진해야 할 전투적 과업들을 제시했다면서 "강대강 원칙의 실천이 첨단무기 개발이나 새형 미사일의 시험발사만이 아니라는 것을 시사해주는 대목"이라고 밝혔다. 이를 두고 핵실험을 염두에 둔 것 아니냐는 관측도 나온다.

신문은 "미국의 사정이 어떻든 강대강에도 귀결은 있다"면서 작년 1월 8차 당대회에서 '대외정치 활동을 최대의 주적인 미국을 제압하고 굴복시키는 데 초점을 맞추고 지향시켜 나가야 한다'고 했던 점을 상기했다.

이어 "조선에 있어서 국권수호를 위한 강대강 국면은 최대의 주적을 제압하고 굴복시키는 힘을 부단히 키우는 기간이기도 하다"고 밝혔다.

transil@yna.co.kr

▶제보는 카톡 okjebo

Copyright © 연합뉴스. 무단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