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빚투' 하다 8조원 물렸다.."신용융자 줄어야 주가 저점"

김사무엘 기자 2022. 6. 22. 08:21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신용융자 투자로 20% 이상 손실이 난 투자금 규모가 7조8000억원에 달할 것이란 분석이 나온다.

최유준 신한금융투자 연구원은 "현재 주가 기준으로 30% 이상의 손실 구간에 진입한 신용융자 잔고 규모는 건강관리, 컴즈, IT 순으로 높다"며 "추가 시장 변동성 확대 시 해당 업종이 수급 측면에 있어 취약할 수 있다"고 분석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삽화=임종철 디자인기자

신용융자 투자로 20% 이상 손실이 난 투자금 규모가 7조8000억원에 달할 것이란 분석이 나온다. 융자 상환으로 인한 매도물량이 증시에 부담을 주고 있지만 신용융자가 감소할수록 주가 저점이 다가올 가능성은 커진다.

22일 신한금융투자에 따르면 현 지수 대비 20% 이상 손실이 추정되는 신용융자 순유입 금액은 코스피 4조5000억원, 코스닥 3조3000억원으로 총 7조8000억원에 달한다.

고점에 유입된 과도한 신용융자는 최근 국내 증시가 하락하는 과정에서 낙폭을 키운 원인으로 분석된다. 신용융자는 증권사로부터 돈을 빌려 주식에 투자하는 것이다. 140% 이상 담보비율을 유지해야 하기 때문에 주가가 떨어지면 추가 증거금을 납부하거나 부족한 물량만큼 증권사가 주식을 강제로 처분하는 반대매매가 실행된다.

주가가 하락할수록 신용융자를 상환하기 위한 물량이나 반대매매 물량이 급증하기 때문에 증시의 낙폭을 더 키우는 원인으로 지목된다.

국내 증시가 급격한 조정을 받으면서 신용융자 잔고도 상당 부분 감소했다. 금융투자협회에 따르면 지난 20일 기준 신용융자 잔고는 20조300억원으로 한 달 전 21조6258억원보다 7.4%(1조5958억원) 감소했다.

최유준 신한금융투자 연구원은 "현재 주가 기준으로 30% 이상의 손실 구간에 진입한 신용융자 잔고 규모는 건강관리, 컴즈, IT 순으로 높다"며 "추가 시장 변동성 확대 시 해당 업종이 수급 측면에 있어 취약할 수 있다"고 분석했다.

주가가 저점을 확인하려면 우선 과도한 신용융자 부담부터 해소할 필요가 있다는 지적이다.

최 연구원은 "과거 약세 구간에서 주가의 바닥은 신용잔고 비율의 바닥과 대체로 일치했다"며 "과거 미·중 무역분쟁과 팬데믹 시기에는 코스피 시가총액 대비 신용잔고 비율이 최고치 대비 30%가량 감소했는데 현재 하락 국면에서는 10% 감소했다"고 설명했다.

이어 "지난 20일 낙폭(코스피 -2.04%, 코스닥 -3.6%)의 영향으로 22일 융자 상환이 상승할 여지가 있다"며 "상환 거래가 늘어날수록 매물 부담이 커지지만 역으로 주가의 저점이 다가오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분석했다.

[관련기사]☞ "저 결혼해요, 신랑은 BTS RM" 결혼설…소속사 입장은옥주현 '김호영 고소' 사과하며 올린 사진…"기싸움" 와글와글장가현 "산후조리원 못가고 43살에 폐경"…조성민 뜻밖의 반응"한여름에 에어컨 못 틀게 해"…옥주현 갑질 논란유퉁, '33세 연하' 전 아내 재혼에…"속았다" 충격
김사무엘 기자 samuel@mt.co.kr

<저작권자 ⓒ '돈이 보이는 리얼타임 뉴스' 머니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pyright © 머니투데이 & mt.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