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J대한통운 택배기사 사망.. 노조 "과로사" vs 사측 "물량 적은 편"

연희진 기자 2022. 6. 22. 06:02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최근 숨진 CJ대한통운 소속 택배기사의 사망 원인에 대해 대해 노조와 사측의 의견이 엇갈리고 있다.

택배노조는 과로사라고 주장하고 CJ대한통운은 물량이 다른 택배기사보다 적었다는 입장을 냈다.

CJ대한통운은 입장문을 통해 "고인의 명복을 빌며 유가족분들께도 깊은 위로의 말씀을 드린다"면서도 A씨가 평소 지병이 있었고 배송물량이 타 택배기사보다 적었다고 설명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CJ대한통운 택배기사 사망을 두고 과로사에 대한 의견이 엇갈린다. 사진은 서울의 한 CJ대한통운 물류센터로 기사와 직접적인 관련 없음./사진=뉴스1
최근 숨진 CJ대한통운 소속 택배기사의 사망 원인에 대해 대해 노조와 사측의 의견이 엇갈리고 있다. 택배노조는 과로사라고 주장하고 CJ대한통운은 물량이 다른 택배기사보다 적었다는 입장을 냈다.

전국택배연대노동조합(택배노조) 산하 택배노동자 과로사 대책위원회(대책위)는 지난 21일 보도자료를 통해 "과로사한 A씨는 만 48세의 비교적 젊은 나이로 평소 지병도 없었던 것으로 알려졌다"며 "과로사 방지 사회적 합의가 만들어진 지 1년이 지났지만 하루 12~13시간의 장시간 노동에 시달려야 했다"고 주장했다.

대책위에 따르면 A씨는 지난 14일 오전 5시30분쯤 출근을 준비하다가 자택에서 쓰러졌다. 가족이 발견해 근처 병원 응급실로 후송됐지만 16일 사망했다. 병원 측에서는 A씨가 뇌출혈이 심한 상태여서 수술이 어려운 상황이라고 안내한 것으로 알려졌다.

대책위는 "고인은 사회적 합의가 이행된 이후에도 분류작업을 했다"며 "가족들과 현장 조합원의 증언에 따르면 CJ대한통운은 분류인력을 분류작업 시작 시각인 아침 7시부터 고용하지 않고 8시 혹은 8시 30분부터 투입했다"고 했다.

대리점에서는 택배노동자들을 2인 1조로 묶어 분류작업조를 운영했고 해당하는 날이면 A씨는 평소보다 더 일찍 출근해 더욱 힘들어했다는 것이 대책위의 설명이다.

CJ대한통운은 입장문을 통해 "고인의 명복을 빌며 유가족분들께도 깊은 위로의 말씀을 드린다"면서도 A씨가 평소 지병이 있었고 배송물량이 타 택배기사보다 적었다고 설명했다.

CJ대한통운은 "고인은 1년 3개월 전 택배기사가 됐고 지난 3월 건강검진에서 동맥경화, 혈압 및 당뇨 의심 판정을 받았다"며 "고인의 하루 배송물량은 223개로 동일 대리점 택배기사 평균 268개보다 17% 적고 주당 작업시간은 55시간 안팎이었던 것으로 파악된다"고 밝혔다.

이어 "근거 없는 사실 왜곡과 무책임한 주장에 대해 깊은 유감을 표한다"면서 "고인에 대해 산재 신청 시 관련 절차에 적극 협조하고 유가족분들께도 가능한 부분에서 지원을 아끼지 않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머니S 주요뉴스]
코카인 뭉치 삼키고 입국?… 수상男 엑스레이 찍어보니
[영상] 사이렌 안 켜고 달리던 소방차…결국은 '쾅'
"똥기저귀 먹어라"…환자 폭행·폭언한 간병인
지하철서 아버지뻘 가격한 20대女…폭행 혐의 추가요
[영상] 서핑 즐기다 비명횡사…사람 날린 '토네이도'
기관지에 튜브 잘못 삽입…사망 의료사고 벌금은?
[영상] 냉동 생수병 벼락 맞았다…차 앞유리 '와장창'
돌팔매에 청둥오리 6마리 떼죽음…"범인은 자수하라"
"가게 가리지마"…허경영 현수막 3회 철거 '벌금형'
"학폭 사과해"…가해자 찾아가 턱뼈 박살낸 20대

연희진 기자 toyo@mt.co.kr
<저작권자 ⓒ '성공을 꿈꾸는 사람들의 경제 뉴스'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pyright © 머니S & moneys.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