극단의 가치 창출 '럭셔리' 시장, '이것'이 떠오른다 [명품톡+]

강민혜 입력 2022. 6. 22. 05:41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시대에 맞는 아이코닉한 패션을 선보이고자하는 브랜드 이념에 맞춰 현재의 디지털 기술을 접목하여 럭셔리 패션과 대중 문화의 경계를 허물기 위해 NFT(Non-Fungible Token, 대체불가능토큰)와 메타버스를 지지하고 있다."

한 명품업계 관계자는 "NFT를 활용한 디지털 쇼룸 형태는 우리가 가장 먼저 시작했다"며 "실제 아이템을 판매하기도 하고, 마케팅적으로 알리기도 쉽다"고 설명했습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구찌.

“시대에 맞는 아이코닉한 패션을 선보이고자하는 브랜드 이념에 맞춰 현재의 디지털 기술을 접목하여 럭셔리 패션과 대중 문화의 경계를 허물기 위해 NFT(Non-Fungible Token, 대체불가능토큰)와 메타버스를 지지하고 있다.”

22일 한 명품업계 관계자의 설명입니다. 시대를 반영하는 명품이 기술을 입고 있습니다. 메타버스 플랫폼에 입점하는 것은 가장 쉬운 접근법이 된지 오래입니다.

● “메타버스 개념, 이미 오래 전 시작”

“우리는 메타버스를 몇 년 전부터 해왔는데, 사람들이 받아들이는데 시간이 오래 걸렸다”는 또다른 관계자의 말은 이를 뒷받침합니다.

ICT 솔루션 기업을 통한 명품업계의 디지털 쇼룸이나 기존에 존재하는 플랫폼을 통한 마케팅은 이제 새로울 것이 없다는 설명입니다.

그렇다면 명품업계가 실질적으로 주목할 만한 신기술은 무엇이 있을까요.

지난 2014년 세상에 등장한 NFT는 코로나19 이후에야 명품업계서 주목받고 있습니다. NFT는 희소성과 독점 측면에서 명품의 정체성과 많이 닮아 있습니다.

단순히 메타버스 플랫폼에 집을 짓고 팔릴지 모르는 아이템을 내놓는 것보다 제품을 NFT화 해 내놓는 것이 혁신을 내세운 마케팅에도 더 어울린다는 분석도 나옵니다.

메타버스에서 실제 수익을 올릴 수 있는 보다 명확한 모델이라는 것입니다.

● 구찌·돌체·프라다…NFT 속성과 닮은 명품

프라다는 지난 1월 아디다스와 협업해 NFT컬렉션을 출시했습니다. 메타버스 안의 자산 권리를 보장하는 미술품 형태입니다.

미술품과 명품은 사치의 일종이라는 측면서 묶이는 공통점이 있습니다. 희소성, 사치성을 충족하는 이들 시장이 서로 협업해 NFT 출시에 적극적으로 나서는 이유입니다.

시장서 개념이 아닌 거래 수단으로서의 NFT가 등장한 것은 지난 2017년의 일입니다.

토큰화한 디지털 소유권이 거래 수단이 됐고, 이에 따라 메타버스 시장서 유저들이 스스로 거래한다는 느낌을 주는 정말 ‘대체 불가능한 토큰’으로 떠오르고 있습니다.

NFT는 자산의 독점성을 보장하므로 명품업계가 관심가질 요소를 또 하나 충족하죠.

알렉산더 미켈레 구찌 크리에이티브 디렉터는 슈퍼구찌 컬렉션을 내놓았습니다. NFT 500개로 구성한 3부작 시리즈로, 이 제품을 구매할 경우 흰색 세라믹 조각품도 함께 가질 수 있어요.

이러한 형식의 NFT와 실물 작품 판매는 돌체앤가바나도 적용하고 있습니다. 이들은 디지털 쇼룸의 NFT를 특정 고객 대상으로 구매할 수 있도록 하고, 실물 옷 등도 함께 판매합니다. 온오프라인 형태의 제품을 판매하는 거죠.

● NFT, 손에 잡히는 개념일까

다만 NFT와 작품 혹은 실물을 결합한 판매 형태를 두고 각 명품 브랜드가 “최초”를 주장하는 상황도 벌어지고 있습니다.

돌체앤가바나는 자신들이 NFT와 디지털 쇼룸 판매를 결합한 최초라고 설명하고, 구찌는 메타버스 플랫폼과 컬렉션을 최초로 연결지었다고 주장합니다.

이러한 설명은 각사의 NFT 판매 방식이 다른 데서 온 것으로, 결국 메타버스 기반의 실제 거래가 이뤄지도록 한 원리는 같다고 볼 수 있습니다. 

한 명품업계 관계자는 “NFT를 활용한 디지털 쇼룸 형태는 우리가 가장 먼저 시작했다”며 “실제 아이템을 판매하기도 하고, 마케팅적으로 알리기도 쉽다”고 설명했습니다.

또다른 관계자는 “아이템을 팔면 실제 수익이 생기긴 하지만 그 액수를 공개할 수는 없다”면서도 “이제 시작 단계고, 메타버스 콘셉트를 연관지은 다른 실물 형태 전시도 준비하고 있다”고 전했습니다.

돌체앤가바나.

강민혜 기자

▶ 밀리터리 인사이드 - 저작권자 ⓒ 서울신문사 -

Copyright © 서울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