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 밖 패권 경쟁 격화..첫발 뗀 한국 우주개발

배삼진 2022. 6. 21. 20:50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뉴스리뷰]

[앵커]

우리 기술로 만든 첫 발사체 누리호가 두 번째 발사에서 성공했지만, 아직 한국의 우주 개발은 걸음마 수준입니다.

지금 세계 강대국들의 패권경쟁은 지구 밖에서도 매우 치열한데요.

우주 공간 선점을 위해 앞다퉈 개발에 나선 주요국들의 상황과 우리나라의 현주소를 배삼진 기자가 짚어봤습니다.

[기자]

우주산업의 성장 잠재력과 안보 거점으로서의 중요성.

세계 각국이 우주 개발 경쟁에 앞다퉈 뛰어드는 이유입니다.

선도국 미국은 2024년 유인 달 탐사가 목표인 '아르테미스 계획'에 박차를 가하고 있습니다.

1972년 아폴로 달 착륙의 영광을 재현하겠다는 겁니다.

민간기업의 우주 진출 이른바 '뉴 스페이스'도 빠르게 전개되고 있습니다.

일론 머스크의 스페이스X는 재사용 로켓 팰컨9을 실용화하며 미 항공우주국 NASA와 손을 잡았습니다.

우주굴기를 내건 중국은 최근 유인우주선 선저우 14호를 쏘아 올려 자체 우주정거장 '텐궁' 건설에 나섰고,

러시아도 1976년 이후 중단된 달 탐사 계획을 재개해 올 연말 루나 25호를 쏘아 올릴 계획입니다.

일본은 2020년 소행성 탐사선 하야부사2를 통해 화성 주변 소행성 류구 관찰에 성공했습니다.

이들에 비하면 우리는 이제 막 첫발을 뗀 상황.

누리호는 지구 700km 상공에 위성을 올리는 저궤도 발사체인데다, 8월 발사될 국내 첫 달 탐사선 다누리호도 외국 발사체의 힘을 빌려야 합니다.

하지만 전문가들은 이런 시도를 통해 우주강국으로 진일보 할 수 있다고 평가합니다.

<안재명 / 카이스트 항공우주공학과 교수> "우리가 미래에서 세계를 리드하는 나라가 되려면 우주기술을 충분히 가지고 있는 것은 필수적이라고 생각을 하고…세계적으로 우수한 수준의 충분한 역량을 갖췄다고 생각할 때까지 지속하는 게 훨씬 더 중요하다…"

이번 누리호 발사 성공으로 실용급 위성 발사가 가능한 7번째 국가로 발돋움한 한국.

향후 차세대 발사체 개발 등을 통해 우주 선진국으로의 도약을 위한 발걸음을 이어갈 계획입니다.

연합뉴스TV 배삼진입니다.

#우주산업 #누리호 #우주패권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끝)

네이버에서 연합뉴스TV를 구독하세요
연합뉴스TV 생방송 만나보기
균형있는 뉴스, 연합뉴스TV 앱 다운받기

Copyright © 연합뉴스TV.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