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췌장암의 씨앗' 만성 췌장염, 80%가 술 때문

권대익 2022. 6. 21. 20:47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급성 췌장염이 만성화되면 췌장암으로 악화할 위험이 높다.

또 만성 췌장염은 조직이 영구적으로 손상돼 회복이 어려울 때가 많다.

알코올은 만성 췌장염 발병 원인의 60%, 급성 췌장염의 30~60%를 차지하는 주요 발생 원인이다.

조인래 교수는 "췌장염은 예방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며 "급성 췌장염이 자주 재발하면 섬유화가 점점 진행돼 췌장 기능을 회복할 수 없는 만성 췌장염까지 이어진다"고 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게티이미지뱅크

급성 췌장염이 만성화되면 췌장암으로 악화할 위험이 높다. 또 만성 췌장염은 조직이 영구적으로 손상돼 회복이 어려울 때가 많다.

조인래 서울대병원 소화기내과 교수는 “만성 췌장염 환자의 췌장암 위험은 일반인보다 18배까지 높은 것으로 알려졌다”고 했다.

췌장은 인슐린 등 호르몬을 분비하는 내분비 기능과 소화를 돕는 효소를 분비하는 외분비 기능을 담당하는 장기다.

췌장 주변에는 위·간·비장과 복강동맥, 상장간막동맥, 간문맥 등 중요한 혈관이 있어 췌장이 손상되면 신체 전체로 영향을 미친다.

급성 췌장염은 췌장 외분비 기능이 손상돼 소화 효소가 조기 활성화하면서 발생하는 급성 염증성 질환이다.

췌장 내에서 활성화된 소화 효소가 췌장과 주변 조직을 공격하면 부종·출혈·괴사가 일어나고, 전신 염증 반응과 다발성 장기부전까지 유발할 수 있다.

급성 췌장염이 계속 재발하면 만성이 된다. 만성 췌장염은 만성적인 염증으로 췌장이 딱딱해지는 섬유화가 일어나고 내분비·외분비 기능 모두에 장애가 생긴다. 섬유화가 계속되면 어떤 치료법으로도 췌장 기능을 근본적으로 회복할 수 없다.

알코올은 만성 췌장염 발병 원인의 60%, 급성 췌장염의 30~60%를 차지하는 주요 발생 원인이다. 알코올이 췌장세포에 직접적 손상을 가하기 때문이다.

담즙이 굳어 만들어진 담석이 급성 췌장염의 주원인이 되기도 한다. 담석이 오디 괄약근에 박혀 췌관을 막으면 십이지장으로 배출되지 못한 췌장액이 췌장 세포를 손상시켜 염증을 유발한다.

원인을 알 수 없는 반복적인 급성 췌장염이 나타나면 검사로 유전성ㆍ자가면역성 췌장염은 아닌지, 선천성 췌관 기형이나 숨겨진 췌장암은 없는지 확인이 필요하다.

급성과 만성 췌장염 모두 복부 통증이 가장 큰 특징이다. 이 밖에 급성 췌장암은 염증반응에 의한 발열ㆍ오한ㆍ오심ㆍ구토 증상이 동반될 수 있고 중증이라면 의식 저하나 호흡 곤란이 오기도 한다.

만성 췌장염이라면 복부 통증은 췌장이 섬유화해 췌관 내부 압력이 높아져 췌장액이 잘 분비되지 않아 통증이 생긴다. 통증은 한 번 발생하면 며칠 간 지속되는 패턴이 반복되기도 한다.

만성 췌장염은 술 때문에 80%가 발병하는 만큼 금주 또는 절주가 예방의 최선책이다. 또한 금연과 함께 기름진 음식 섭취를 줄이고 채소와 과일을 골고루 섭취하는 것이 좋다.

조인래 교수는 “췌장염은 예방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며 “급성 췌장염이 자주 재발하면 섬유화가 점점 진행돼 췌장 기능을 회복할 수 없는 만성 췌장염까지 이어진다”고 했다.

권대익 의학전문기자 dkwon@hankookilbo.com

Copyright © 한국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