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리 뛰는데..고정금리 대출, 오히려 줄었다고?

이인혁 2022. 6. 21. 17:15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올해 들어 전체 가계대출에서 고정금리가 차지하는 비율이 점점 줄어 20%를 밑돌고 있다.

변동금리 대출 중에선 은행채 등 시장금리가 아니라 코픽스(COFIX·자금조달비용지수)와 같이 예·적금 등 수신금리에 연동되는 상품을 고르는 소비자가 늘어나는 추세다.

변동금리 대출 중에서는 수신금리 연동 대출 증가세가 두드러진다.

한은에 따르면 수신금리에 연동되는 변동금리 대출 비중은 지난 1월 40.1%에서 4월 51.2%까지 상승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올들어 감소세..20% 아래로
고정금리, 변동과 1%P 차이
대출시점서 더 싼 변동금리 선택

올해 들어 전체 가계대출에서 고정금리가 차지하는 비율이 점점 줄어 20%를 밑돌고 있다. 변동금리 대출 중에선 은행채 등 시장금리가 아니라 코픽스(COFIX·자금조달비용지수)와 같이 예·적금 등 수신금리에 연동되는 상품을 고르는 소비자가 늘어나는 추세다. 금리가 가파르게 오르면서 대출 시점에 이자가 한 푼이라도 저렴한 대출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는 분석이다.


21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지난 4월 기준 전체 가계대출 신규 취급액 중 고정금리 대출이 차지하는 비중은 19.2%였다. 1월(23.7%), 2월(22.1%), 3월(19.5%) 등 올 들어 계속 감소세를 나타내고 있다. 통상 금리 인상기엔 변동금리보다 고정금리가 유리하다는 평가가 많다. 하지만 고정금리와 변동금리의 차이가 1%포인트를 넘을 정도로 고정금리가 더 빨리 오르면서 소비자들의 변동금리 선호 현상이 강해지고 있다.

국민 신한 하나 우리 등 4대 은행의 주택담보대출 고정금리 상단은 지난 16일 연 7%를 돌파했지만 변동형 주담대 최고금리는 아직 연 6%를 밑돌고 있기 때문이다. 작년 12월 31일 4대 은행의 주담대 고정금리와 변동금리 상단이 각각 연 4.98%, 연 5.07%였다는 것을 감안할 때 고정형 주담대 금리 인상폭이 훨씬 크다. 한 시중은행 관계자는 “고정금리가 금리 인상기 ‘완충지대’의 역할을 사실상 하지 못하고 있는 셈”이라고 했다.

변동금리 대출 중에서는 수신금리 연동 대출 증가세가 두드러진다. 한은에 따르면 수신금리에 연동되는 변동금리 대출 비중은 지난 1월 40.1%에서 4월 51.2%까지 상승했다. 같은 기간 시장금리 연동 변동금리 대출은 33.4%에서 26.6%로 낮아졌다. 변동형 주담대나 예·적금담보대출이 대표적인 수신금리 연동 대출이다. 신용대출은 시장금리에 연동되는 경우가 많다.

수신금리 연동 대출의 금리가 시장금리 연동보다 비교적 낮게 설정돼 있어 최근 들어 비중이 높아지고 있다는 분석이다.

이인혁 기자 twopeople@hankyung.com

경제지 네이버 구독 첫 400만, 한국경제 받아보세요
한국경제신문과 WSJ, 모바일한경으로 보세요

Copyright © 한국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