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계 · 제작 · 발사까지..'국내 기술' 12년 노력 결실 맺나

전형우 기자 2022. 6. 21. 15:57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누리호 개발은 2010년 3월에 시작됐습니다.

지난 12년 동안 설계부터 제작, 시험, 발사까지 실패에 실패를 거듭하면서도 국내 기술로 하나씩 단계를 밟아왔습니다.

[한영민/항공우주연구원 발사체개발부장 : 사실 해답이 없는 기술적인 문제거든요. 설계 변경하고 시험해 봐야지 계속 반복해봐야지 알 수 있는 거라 그때가 기술적으로 가장 어려웠던 시기였던 것 같습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앵커>

누리호 개발은 2010년 3월에 시작됐습니다. 지난 12년 동안 설계부터 제작, 시험, 발사까지 실패에 실패를 거듭하면서도 국내 기술로 하나씩 단계를 밟아왔습니다.

전형우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2010년 시작된 누리호 개발은 산 너머 산이었습니다.

개발 4년 만에 발사체의 핵심인 75톤급 엔진 첫 연소 시험에 나섰지만 불꽃은 10초를 넘기지 못했습니다.


국가 간 기술 이전이 엄격히 금지된 분야이다 보니 작은 것 하나까지 시행착오를 통해 스스로 답을 찾아야 했습니다.

[한영민/항공우주연구원 발사체개발부장 : 사실 해답이 없는 기술적인 문제거든요. 설계 변경하고 시험해 봐야지 계속 반복해봐야지 알 수 있는 거라 그때가 기술적으로 가장 어려웠던 시기였던 것 같습니다.]

75톤급 엔진 4개가 마치 하나의 엔진처럼 움직이도록 묶는 클러스터링 기술도 이런 과정을 통해 확보했습니다. 특히 연구진을 괴롭혔던 건 엔진의 불안정 연소였습니다.

설계를 12번 바꾸고 184차례, 1만 8천 초 연소시험을 한 뒤에야 해법을 찾았습니다.

단순해 보이는 연료통도 무게와 싸움을 벌여야 하는 로켓 개발에선 첨단 기술의 집약체였습니다.

[조기주 /항공우주연구원 발사체추진기관체계팀장 : 발사체라는 게 무게와의 싸움이거든요. 발사체 무게를 1kg 줄이면 우주로 보낼 수 있는 게 1kg 늘어나기 때문에 줄이는 노력을 다방면에서 해야 하는 거죠.]

수백, 수천 번 확인 끝에 지난해 10월 실시된 1차 발사.

기술적 난관으로 꼽혔던 1단 로켓 추진과 단 분리, 페어링 분리를 성공적으로 해냈지만, 정작 예상치 못했던 3단 로켓의 헬륨탱크 문제로 발목이 잡혔습니다.

8개월 만에 재개된 2차 발사도 쉽진 않았습니다.

강한 바람 탓에 발사가 하루 연기되는가 하면, 1단 산화제 탱크 속 센서 이상으로 발사대에 섰다 다시 내려오기도 했습니다.

그리고 오늘(21일) 다시 발사대에 선 누리호, 12년의 노력이 결실을 맺길 연구진과 국민 모두 숨죽여 기다리고 있습니다.

전형우 기자dennoch@sbs.co.kr

Copyright ©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