놀이터에서 '꽈당'.. 소비자원, 여름철 어린이 안전사고 주의보

한영선 기자 2022. 6. 21. 13:49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한국소비자원이 야회활동이 늘어나는 여름철을 맞아 놀이터 안전사고 예방을 위한 안전 주의보를 발령했다.

21일 한국소비자원에 따르면 최근 3년(2019∼2021년) 동안 소비자위해감시시스템(CISS)에 접수된 놀이터 내 어린이 안전사고는 총 4076건으로 매년 1000건 이상씩 발생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한국소비자원이 여름철 놀이터 안전사고 예방을 위한 안전 주의보를 발령했다. /사진=이미지투데이
한국소비자원이 야회활동이 늘어나는 여름철을 맞아 놀이터 안전사고 예방을 위한 안전 주의보를 발령했다.

21일 한국소비자원에 따르면 최근 3년(2019∼2021년) 동안 소비자위해감시시스템(CISS)에 접수된 놀이터 내 어린이 안전사고는 총 4076건으로 매년 1000건 이상씩 발생했다.

연도별 놀이터 내 어린이 안전사고 건수는 ▲2019년 1736건 ▲2020년 1176건 ▲2021년 1164건으로 확인됐다.

놀이터 안전사고를 계절별로 분석한 결과 야외 활동이 많아지는 여름철(41.6%)이 가장 많았다. 이어 ▲가을(25.0%) ▲봄(18.7%) ▲겨울(14.6%) 순이었다.

안전사고를 발달 연령대별로 분석한 결과 학령기(7∼14세) 어린이 관련 사고가 43.1%로 가장 많았다. 이어 ▲유아기(4∼6세) 35.3% ▲걸음마기(1∼3세) 21.5% 순으로 확인됐다.

안전사고 중 미끄럼틀이나 그네 등 놀이기구에서 떨어지는 추락 사고가 58.3%로 절반 이상을 차지했다. 이어 ▲미끄러짐·넘어짐(19.6%) ▲부딪힘(18.1%) 등의 사고도 잦았다.

안전사고는 학령기에서 가장 많이 발생했지만 미끄러짐이나 넘어짐에 따른 사고는 유아기에서 더 많았다. 안전사고에 따른 증상은 ▲피부 및 피하조직 손상(40.0%) ▲근육· 뼈 등의 인대 손상(31.8%)이 주를 이뤘다.

소비자원과 공정위는 놀이터 어린이 안전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보호자가 옆에서 지켜볼 것 ▲놀이터 안내판 등 보호자가 기구별 안전수칙 먼저 숙지할 것 ▲어린이에게 기구 이용법 및 주의사항 알려줄 것 ▲활동하기 편한 옷을 입힐 것 등을 당부했다.

[머니S 주요뉴스]
코카인 뭉치 삼키고 입국?… 수상男 엑스레이 찍어보니
[영상] 사이렌 안 켜고 달리던 소방차…결국은 '쾅'
"똥기저귀 먹어라"…환자 폭행·폭언한 간병인
지하철서 아버지뻘 가격한 20대女…폭행 혐의 추가요
[영상] 서핑 즐기다 비명횡사…사람 날린 '토네이도'
기관지에 튜브 잘못 삽입…사망 의료사고 벌금은?
[영상] 냉동 생수병 벼락 맞았다…차 앞유리 '와장창'
돌팔매에 청둥오리 6마리 떼죽음…"범인은 자수하라"
"가게 가리지마"…허경영 현수막 3회 철거 '벌금형'
"학폭 사과해"…가해자 찾아가 턱뼈 박살낸 20대

한영선 기자 youngsun@mt.co.kr
<저작권자 ⓒ '성공을 꿈꾸는 사람들의 경제 뉴스'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pyright © 머니S & moneys.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