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오세훈표 모아타운' 21곳 선정..7월 추가 공모

박승주 기자 2022. 6. 21. 11:15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자치구 신청 30곳 중 8곳 탈락..창동 일대는 보류
모아타운 추진으로 2026년까지 3만가구 이상 신규 공급
서울 중랑구 모아타운 시범사업지 일대 전경. © News1 박세연 기자

(서울=뉴스1) 박승주 기자 = 오세훈표 '모아타운' 대상지 선정을 위한 첫 자치구 공모 결과 21곳이 최종 선정됐다. 대규모 재개발이 어려웠던 노후 저층주거지의 열악한 주거환경이 개선될 것으로 보인다.

서울시는 모아타운 대상지 선정위원회를 열고 노후도를 포함한 사업의 시급성 등을 종합적으로 검토, 30곳 중 21곳을 대상지로 선정했다고 21일 밝혔다.

'모아타운'은 신축·구축 건물이 혼재돼 있어 대규모 재개발이 어려운 10만㎡ 이내 노후 저층주거지를 하나의 그룹으로 묶어 대단지 아파트처럼 개발하는 지역 단위 정비방식이다. 주차난 등 저층주거지의 고질적인 문제를 해소하고, 무분별한 개별사업으로 인한 나홀로 아파트를 방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모아타운으로 지정되면 지역 내 이웃한 다가구·다세대주택 필지 소유자들이 개별 필지를 모아 블록 단위(1500㎡ 이상)로 아파트를 공동 개발하는 '모아주택'(소규모주택정비사업)을 추진할 수 있다.

이번에 모아타운으로 지정된 곳은 종로구 구기동 100-48 일원(6만4231㎡)을 비롯해 Δ성동구 마장동 457 일원(7만5382㎡) Δ사근동 190-2 일원(6만6284㎡) Δ중랑구 면목3·8동 44-6 일원(7만6525㎡) Δ면목본동 297-28 일원(5만5385㎡) Δ중화1동 4-30 일원(7만5015㎡) Δ망우3동 427-5 일원(9만8171㎡) Δ강북구 번동 454-61 일원(5만3351㎡) Δ도봉구 쌍문동 524-87 일원(8만2630㎡) Δ쌍문동 494-22 일원(3만1303㎡) Δ노원구 상계2동 177-66 일원(9만6000㎡) 등이다.

이외 Δ서대문구 천연동 89-16 일원(2만4466㎡) Δ마포구 성산동 160-4 일원(8만3265㎡) Δ망원동 456-6 일원(8만2442㎡) Δ양천구 신월동 173 일원(6만1500㎡) Δ신월동 102-33 일원(7만5000㎡) Δ강서구 방화동 592 일원(7만2000㎡) Δ구로구 고척동 241 일원(2만5000㎡) Δ구로동 728 일원(6만4000㎡) Δ송파구 풍납동 483-10 일원(4만3339㎡) Δ거여동 555 일원(1만2813㎡)도 포함됐다.

21곳 중 6곳은 도시재생활성화지역이다. 재개발 방식을 추진하려면 도시재생사업 전면 취소가 불가피한 곳들이지만 '모아타운'의 경우 도시재생 활성화계획 변경으로 재생사업과 연계 추진이 가능하다.

오세훈 서울시장이 지난 1월 서울 모아타운 시범사업지인 강북구 번동에서 '모아주택 추진계획'을 발표하는 모습. © News1 박지혜 기자

대상지로 선정된 21곳은 해당 자치구에서 관리계획을 수립한 뒤 서울시에서 주민공람, 통합심의 등 절차를 거쳐 모아타운의 법적 효력을 가지는 소규모주택정비 관리지역으로 지정된다. 이르면 연말부터 내년 상반기까지 순차적으로 모아타운 지정이 이뤄지게 된다.

투기방지대책도 마련했다. 서울시는 지분쪼개기 등을 통한 투기세력 유입을 차단하기 위해 6월23일을 권리산정기준일로 지정·고시한다.

권리산정기준일까지 착공신고를 득하지 못한 사업의 토지등소유자는 추후 해당 필지에서 모아주택이 시행될 경우 현금청산대상자가 된다. 권리산정기준일까지 착공신고를 득했을 경우라도 개별 모아주택의 조합설립인가 전까지 소유권을 확보해야 분양대상이 될 수 있다.

서울시는 다음달 중 '모아타운 대상지 발굴 자치구 공모'를 추가로 진행할 예정이다. 주민들이 직접 관리계획안을 마련해 자치구에 내고, 자치구가 적정 여부를 검토해 시에 승인을 요청하는 '모아타운 주민제안'도 추진한다.

14개 자치구가 신청한 30곳 중 한양도성·풍납토성 등 역사문화환경 보존과 관리가 필요한 지역들은 최종 대상지에서 제외됐다. 다만 이번 대상지 선정에서 제외된 8곳도 사업 중복 등의 문제가 해결될 경우 다음 공모에 재신청할 수 있다.

도봉구 창동 501-13 일원은 공공재개발과 모아타운 공모에 중복신청해 '유보' 결정을 받았다. 공공재개발 후보지 선정 결과에 따라 자치구에서 주민의견을 수렴한 뒤 요청하면 모아타운으로 선정될 수 있다.

서울시는 이번 공모로 선정된 대상지를 그동안 막혔던 주택공급 문제를 해결해 나갈 마중물로 삼아 중장기적인 주택 수급 안정을 도모한다는 목표다. 원활한 모아타운 추진으로 2026년까지 총 3만가구 이상의 양질의 신규 주택을 공급한다는 계획이다.

김성보 서울시 주택정책실장은 "선정된 대상지에서 모아주택 사업이 신속하게 추진되도록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며 "서울시민의 주거 안정과 서울시 지역균형발전에 기여하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parksj@news1.kr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