폐허에도 꽃핀 예술.. 오데사 극장, 115일 만에 공연 재개

권영은 2022. 6. 19. 23:59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그럼에도 예술은 계속된다.

러시아 침공으로 문을 닫았던 우크라이나 최대 항구도시 오데사의 오페라극장이 115일 만에 다시 돌아왔다고 미 일간 뉴욕타임스(NYT)가 18일(현지시간) 전했다.

NYT에 따르면 흑해 연안에 자리한 오데사의 랜드마크로 1810년 건립된 오페라극장이 전날 다시 문을 열고 공연을 재개했다.

최근 몇 주간은 평온한 상태를 유지하고 있지만 오데사로부터 70마일(약 112㎞) 떨어진 미콜라이우에는 지금도 매일같이 러시아의 포격이 계속되고 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러시아가 우크라이나를 침공한 2월 24일 이후 115일 만인 지난 17일 공연을 재개한 오데사의 오페라극장. 오데사=AFP 연합뉴스

그럼에도 예술은 계속된다.

러시아 침공으로 문을 닫았던 우크라이나 최대 항구도시 오데사의 오페라극장이 115일 만에 다시 돌아왔다고 미 일간 뉴욕타임스(NYT)가 18일(현지시간) 전했다. NYT에 따르면 흑해 연안에 자리한 오데사의 랜드마크로 1810년 건립된 오페라극장이 전날 다시 문을 열고 공연을 재개했다.

우크라이나 해상 무역의 70%를 담당하는 서남부의 오데사 항구는 러시아군의 이번 흑해 봉쇄로 제2차 세계대전 이후 처음 전면 폐쇄된 바 있다. 최근 몇 주간은 평온한 상태를 유지하고 있지만 오데사로부터 70마일(약 112㎞) 떨어진 미콜라이우에는 지금도 매일같이 러시아의 포격이 계속되고 있다. 우크라이나 군 당국은 열흘 전 극장 측에 공연 재개 허가를 내줬다.

지난 17일 공연 전 꽃을 든 우크라이나 군인이 오페라극장 앞에서 서 있다. 오데사=AFP 연합뉴스

평범한 일상으로의 회귀는 아직 멀다. 오페라극장 앞에는 방어용 모래주머니가 겹겹이 쌓여 있고, 공연 시작 전에는 '공습 사이렌이 울리면 공연장 내 대피소로 이동하라'는 안내가 나온다. 하지만 희망을 놓지 않는다. 극장 수석 지휘자인 뱌체슬라우 체르누호볼리치는 "전쟁이 시작될 때 폭발과 사이렌 소리가 마치 2차 세계대전을 그린 영화를 보는 것처럼 비현실적으로 느껴지고 겁이 났지만 인간은 또 적응하기 마련"이라며 "쉽지 않지만 문명의 승리를 믿고 싶다"고 말했다.

공연은 우크라이나 국가 연주로 막을 올렸다. '로미오와 줄리엣' 이중창을 비롯해 오데사 태생의 작곡가 콘스탄틴 단케비치의 곡 등이 무대를 수놓았다. 엄격한 보안 규정으로 객석은 전체의 3분의 1만 찼지만, 공연이 끝난 후 객석에서는 "브라보" 외침과 함께 갈채가 쏟아졌다. 줄리엣을 연기한 소프라노 마리나 나즈미텐코는 "예술은 우리가 이 전쟁에서 승리할 수 있도록 살아남고, 또 우리의 본질을 지킬 수 있도록 도와줄 것"이라고 말했다.

권영은 기자 you@hankookilbo.com

Copyright © 한국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