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불 취약지역에 솟은 송전탑.."재난 위험 가중시켜"
송전탑 같은 에너지 관련 시설을 지을 때 산불 위험 지역을 피해 건설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왔다. 갈수록 산불이 자주 발생하고 규모도 커지고 있는데 에너지 인프라 같은 고위험 시설은 산불 진화를 방해하고 송전 불능 등 2차 재난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것이다.
녹색연합은 19일 보도자료를 통해 “산불 취약 지역에 밀집된 대형 발전소와 송전탑 등 에너지 시설이 산불 재난의 위험을 가중시킨다”며 이같이 밝혔다.
국립산림과학원이 2018년 발간한 산불취약지도를 보면 송전탑이 지나는 한울 원자력발전소 주변 산지는 침엽수림으로 산불취약지수 A, B등급 지역이다. 산불취약지수는 지역 내에서 산불이 자주 발생할 위험이 있는 곳과 산불이 일어났을 때 피해가 커질 수 있는 곳의 가능성을 모두 따져 위험이 큰 순으로 A등급부터 D등급까지로 분류된다.
단체는 송전선로가 산불 취약지를 지나는데도 대비책이 부족하다고 지적했다. 산불이 발생한 올 3월4일에는 한울 원자로 6호기에 송전선로 문제가 발생해 비상시 작동되는 디젤발전기가 돌아간 적이 있다. 단체는 “지난 3월 울진 산불이 발생한 지 3시간 만에 한울핵발전소에 연결된 송전선로 4개 중 3개 노선이 송전 불능 상태에 빠졌다”며 “나머지 1개 선로마저 기능을 상실했다면 전국 단위의 대규모 정전이 발생할 뻔한 순간이었다”고 말했다.
그럼에도 한전의 송전선로 입지 선전 기준 중 안전성 항목에 산불 위험성은 빠져있다. 한국전력 전력영향평가 송전선로 배제지역 기준을 보면 안정성 항목에는 군사시설보호지역, 화약물 저장소, 산사태·눈사태 발생 지역 등의 기준은 포함돼 있지만 산불 위험 지역은 없다. 녹색연합은 “송전선로는 산불 진화를 방해하고 송전 불능 상태가 되면 2차 재난으로 이어질 수 있는 고위험 시설”이라며 “(한전 규정뿐 아니라) 환경영향평가와 산지전용허가에서도 산불 위험성 및 대비책은 전혀 검토되지 않는다”고 말했다.
녹색연합은 “정부가 계획하고 있는 동해안~신가평 송전선로가 지나는 경북 울진·봉화, 강원 삼척은 국내에서 가장 소나무 숲이 발달한 곳”이라며 “침엽수 밀집 지역 한가운데 송전선로를 건설하는 것은 이 지역 산불 진화를 포기하고 주민들과 송전선로를 산불에 무방비로 노출시키는 것과 다름없다”고 말했다. 이어 “부지 선정 시 산불에 취약한 지역은 에너지 시설 건설을 피하고, 산불취약지 진화 동선을 고려해 필요한 구간은 지중화 해야한다”고 지적했다.
Copyright © 경향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나도 부정선거라 생각했다”···현장 보고 신뢰 회복한 사람들
- 국힘 박상수 “나경원 뭐가 무서웠나···시위대 예의 있고 적대적이지도 않았다”
- 늙으면 왜, ‘참견쟁이’가 될까
- 공영방송 장악을 위한 이사장 해임 “모두 이유 없다”…권태선·남영진 해임무효 판결문 살펴
- 내란의 밤, 숨겨진 진실의 퍼즐 맞춰라
- ‘우리 동네 광장’을 지킨 딸들
- 대통령이 사과해야 되는 거 아니에요? 사과해요, 나한테
- 독일 크리스마스 마켓에 차량 돌진…70명 사상
- [설명할경향]검찰이 경찰을 압수수색?···국조본·특수단·공조본·특수본이 다 뭔데?
- 경찰, 경기 안산 점집서 ‘비상계엄 모의’ 혐의 노상원 수첩 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