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피 올해 들어 18% 추락..한국은 경기둔화 타격 더 받아

조성원 D콘텐츠 제작위원 2022. 6. 19. 09:57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코스피가 급격한 금리 인상에 따른 경기 침체 우려에 하락세를 키우면서 연초 대비 20% 가까이 급락했습니다.

연초부터 미국 연방준비제도 발 긴축 우려로 급락장이 펼쳐진 데다 최근에는 미국이 금리를 한 번에 0.75%포인트 인상하는 바람에 경기 침체 가능성까지 커지면서 국내 증시도 급격한 하락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코스피가 급격한 금리 인상에 따른 경기 침체 우려에 하락세를 키우면서 연초 대비 20% 가까이 급락했습니다.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지난 13일 '검은 월요일'을 시작으로 17일 장중 2,400선까지 붕괴했던 13∼17일 한 주간 코스피 하락률은 -5.97%, 코스닥 주간 하락률은 -8.18%에 달했습니다.

코스피 주간 하락률은 1월 24∼28일(-6.03%) 이후 올해 들어 두 번째로 높았고, 코스닥 주간 하락률은 2020년 2월 24∼28일(-8.57%) 이후 2년 4개월 만에 최대였습니다.

연초부터 미국 연방준비제도 발 긴축 우려로 급락장이 펼쳐진 데다 최근에는 미국이 금리를 한 번에 0.75%포인트 인상하는 바람에 경기 침체 가능성까지 커지면서 국내 증시도 급격한 하락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연초와 비교하면 코스피는 작년 연말 2,977.65에서 이달 17일 2,440.93으로 18.02% 떨어졌고, 코스닥은 1,033.98에서 798.69로 22.76% 떨어졌습니다.

증시 전문가들은 기술적 반등이 있을 수 있겠지만, 4분기에는 경기침체 우려가 확대되면서 2차 하락추세가 전개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서상영 미래에셋증권 미디어콘텐츠본부장은 "각국 중앙은행이 긴축을 가속하다 보니 시장에서는 경기가 침체로 나아간다는 최악의 시나리오를 산정하고 있어 증시 낙폭이 커지고 있다"며 "우리나라는 수출의존도가 높아 글로벌 경기 둔화 가능성의 타격을 더 많이 받고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정명지 삼성증권 투자정보팀장은 "2008년 이후 사실상의 제로금리와 무제한 양적완화가 완전히 되돌려지는 과정에서 달러 가치가 급상승하고, 엔화가치가 급락하는 등 이례적인 현상이 나타나 시장이 더욱 공포감을 느끼는 상황"이라고 전했습니다.

다만 "증시가 연간으로 2008년 이후 (연간 기준으로) 가장 많이 하락할 수도 있지만, 지난 2년간 급격히 올랐던 것을 고려하면 금융위기만큼의 위기 상황이라고 보기는 어렵다"고 말했습니다.

코스피는 2008년 40.73% 하락한 이후에는 다음해인 2009년 49.65%, 2010년 21.88% 상승했는데, 올해의 경우 하락 전인 2020년에는 30.75%, 2021년에는 3.63%가 상승했습니다.

(사진=연합뉴스)

조성원 D콘텐츠 제작위원wonnie@sbs.co.kr

Copyright ©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