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리포트] 체외 인공심장으로 버틴 순후의 400일..교체 수술 중 찾아온 기적

조동찬 의학전문기자 2022. 6. 14. 18:57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올해 3살인 순후의 심장은 엄마의 자궁에서부터 잘 뛰지 않았습니다.

순후의 몸집이 커져 더 큰 인공심장으로 교체해야 했을 때 기적의 새싹이 움텄습니다.

[조성규 / 서울대병원 흉부외과 교수 : (인공심장을) 교체하는 순간에 잠깐 멈추잖아요. 이거를. 근데 그때 너무 심장이 잘 뛰는 거예요. 한 번 다시  해봅시다.]

[조성규 / 서울대병원 흉부외과 교수 : 순후의 심장한테 또 고마워서 400일 기다렸더니 돌아온 게 너무 고맙고..]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올해 3살인 순후의 심장은 엄마의 자궁에서부터 잘 뛰지 않았습니다.

[권기훈 / 순후 아버지 : (순후를) 낳아야 하나 말아야 하나 진짜 그런 고민은 수없이 했죠. 안 했다 그러면 그건 거짓말인 것 같고..]

[윤정은 / 순후 어머니 : 아이가 자신을 스스로 포기하지 않는 이상 부모로서 포기는 있을 수 없고...]

태어나 정밀 검사해보니 심장 기능은 정상의 17%, 방법은 심장 이식 뿐이었습니다.

기증자가 나타날 때까지 몸 밖 인공 심장으로 버티는 것도 험난했습니다.

[조성규 / 서울대병원 흉부외과 교수 : 인공 심장을 다는 거 자체도 되게 고민이 많이 됐어요. 체중이 작은 애들한테 이거를 다는 게 위험 요소가 되거든요.]

체외 인공심장을 떼 내는 첫 시도는 절망적이었습니다.

[권혜원 / 서울대병원 흉부외과 교수 : (인공심장) 기계를 떼고 나서 며칠 후에 이제 갑자기 아기가 호흡곤란이 심하게 오면서 폐출혈도 생기고...]

400일, 세계에서도 유래를 찾기 어려운 기간. 체외 인공심장을 차야 했습니다. 

[윤정은 / 순후 어머니 : (첫 실패 때) 낙담을 했죠. 어떻게 보면 진짜 조금 기대는 했거든요.]

엄마와 순후는 코로나에 감염돼 격리치료까지 받아야 했습니다.

[윤정은 / 순후 어머니 : (코로나에 감염됐을 때) 엉엉 울면서 왜 이런 상황이 벌어졌을까. 그때가 제일 너무 힘들었던 것 같아요.]

순후의 몸집이 커져 더 큰 인공심장으로 교체해야 했을 때 기적의 새싹이 움텄습니다.

[조성규 / 서울대병원 흉부외과 교수 : (인공심장을) 교체하는 순간에 잠깐 멈추잖아요. 이거를. 근데 그때 너무 심장이 잘 뛰는 거예요. 한 번 다시 
해봅시다.]

6개월 후엔 기적이 꽃폈습니다.

심장 이식이 필요 없을 만큼 회복된 겁니다. 

[권혜원 / 서울대병원 흉부외과 교수 : (심장) 이식만 계속 기다리고 있었는데 6개월 째쯤 되니까 정상인의 심장 기능의 한 3분의 2 정도까지 따라잡게 돼서...]

[권기훈 / 순후 아버지 : 진짜? 이게 꿈은 아니겠지. 순후가 몸은 조금 아프지만 그래도 행복하고 얘는 진짜 행복한 아이라고...]

순후는 자신을 돌본 어른들에게 '고마움'을 선물했습니다.

[조성규 / 서울대병원 흉부외과 교수 : 순후의 심장한테 또 고마워서 400일 기다렸더니 돌아온 게 너무 고맙고..]

"순후 안녕, 사랑해요."

SBS 조동찬입니다.

(영상취재 : 김원배 / 편집 : 박지인 / 제작 : D콘텐츠기획부)

조동찬 의학전문기자dongcharn@sbs.co.kr

Copyright ©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