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차트]4520만원, 전국 근로소득 1위는 서울 아니라 이 곳

차유채 기자 2022. 6. 11. 06:00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잘 만든 차트 하나는 열꼭지 기사보다 낫습니다.

9일 김회재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국세청에서 받은 '광역자치단체별 근로소득 신고현황'에 따르면, 2020년 귀속 근로소득 연말정산 결과 17개 시도 중 1인당 평균 총급여액이 가장 많은 지역은 세종(4520만원)이었다.

나머지 14개 시도는 모두 1인당 평균 근로소득이 4000만원에 미치지 못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편집자주] 잘 만든 차트 하나는 열꼭지 기사보다 낫습니다. 알차고 유익한 차트 뉴스, [더차트]입니다.


전국에서 평균 근로소득이 가장 높은 지역은 세종시였다. 광역단체 기준으로 서울, 울산, 경기가 그 뒤를 이었다.

9일 김회재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국세청에서 받은 '광역자치단체별 근로소득 신고현황'에 따르면, 2020년 귀속 근로소득 연말정산 결과 17개 시도 중 1인당 평균 총급여액이 가장 많은 지역은 세종(4520만원)이었다.

공무원·공공기관 종사자가 많은 '행정도시'라는 특징이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2위는 각종 인프라가 집중된 우리나라의 수도 서울(4380만원)이었으며, 3위는 제조업의 도시 울산(4340만원)이 차지했다.

나머지 14개 시도는 모두 1인당 평균 근로소득이 4000만원에 미치지 못했다. ▲ 4위는 경기(3890만원)였으며 ▲ 5위는 충남(3730만원) ▲ 6위는 대전(3710만원) ▲ 공동 7위는 전남·광주(각 3590만원)였다.

▲ 공동 9위에는 경남·충북(각 3580만원)이 올랐으며 ▲ 11위는 경북(3560만원) ▲ 12위 부산(3520만원) ▲ 13위 대구(3500만원) ▲ 14위 강원(3440만원) ▲ 15위 인천(3410만원) ▲ 16위 전북(3400만원) ▲ 17위 제주(3270만원)였다.

1위 세종과 최하위 제주의 1인당 격차는 1250만원에 달했다. 한편 서울·경기·인천 등 수도권의 근로소득 총액은 전체 총액의 과반인 56.7%(423조 4516억원)를 기록했다.

[관련기사]☞ "김건모·장지연 파경 원인은 '가세연' 폭로…신뢰 흔들렸다"지드래곤, 싹둑 자른 장발→"눈치 볼 필요 없다" 의미심장 글'연매출 1000억' 여에스더 "광고모델 안쓰는 이유가…"'김건모와 이혼' 장지연 누구?…버클리 음대 출신에 13살 연하최준희, 엄마 故 최진실과 똑닮았네…미모 비교 인증샷 '눈길'
차유채 기자 jejuflower@mt.co.kr

<저작권자 ⓒ '돈이 보이는 리얼타임 뉴스' 머니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pyright © 머니투데이 & mt.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