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땅,우리생물] 섬과 바다를 무대로 살아가는 '슴새'

2022. 6. 2. 23:08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섬에서 나고 자라 평생 바다에서만 사는 새가 있다.

슴새는 우리나라 먼바다 무인도에 주로 번식한다.

3월쯤 남쪽 바다에서 우리나라 섬으로 들어와 10월까지 새끼를 길러내고 다시 따뜻한 남쪽 바다로 먼 비행을 떠나는 일생을 산다.

섬에 들어온 슴새는 땅에 굴을 파 둥지를 만들고, 단 한 개의 알을 낳아 지극정성 보살핀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섬에서 나고 자라 평생 바다에서만 사는 새가 있다. 갈매기만 한 크기에 긴 날개를 가진 ‘슴새’라는 생소한 이름의 새다. 섬사람들은 섬에 사는 새라고 ‘섬새’, 혹은 울음소리가 깍~, 깍~ 거려 ‘깍새’ 또는 ‘꽉새’로도 부른다.

슴새는 우리나라 먼바다 무인도에 주로 번식한다. 3월쯤 남쪽 바다에서 우리나라 섬으로 들어와 10월까지 새끼를 길러내고 다시 따뜻한 남쪽 바다로 먼 비행을 떠나는 일생을 산다. 섬에 들어온 슴새는 땅에 굴을 파 둥지를 만들고, 단 한 개의 알을 낳아 지극정성 보살핀다. 암수가 4일씩 교대로 알을 품는데, 수컷이 품을 때면 암컷은 바다로 나가 충분히 먹이를 먹고 교대를 하러 돌아온다. 알을 품는 동안 부모는 비좁은 굴에서 먹지도, 마시지도 않고 오롯이 알이 부화할 날을 기다리며 묵묵히 자신의 체온을 전달한다.

바다로 나갔던 배우자가 기상이 나빠 약속한 4일보다 더 늦어지면 둥지에 있는 배우자는 그 시간만큼 배고픔과 외로움을 견디며 알을 지킨다. 필자가 연구하던 중 관찰한 암컷 슴새가 생각난다. 무슨 안 좋은 일이 생겼는지 5일이, 6일이 지나도 수컷은 끝끝내 돌아오지 않았는데, 암컷 슴새는 그렇게 9일간 야윈 모습으로 죽을힘을 다해 알을 지키다 결국 둥지를 포기하고 떠나버렸고, 남겨진 알은 부화되지 못했다.

슴새 암수는 각각 6번의 포란 교대 임무를 완수해야 비로소 알을 부화시킬 수 있다. 세상 어느 자식이 안 이쁘겠냐만, 이런 고난과 역경 끝에 만난 자식은 오죽 이쁠까. 하지만 여기서 끝이 아니다. 새끼가 둥지를 떠나려면 3개월간 부지런히 먹이고 키워야 한다. 이때부터 암수는 교대 간격이 짧아지며, 심지어 낮에는 새끼 혼자 둥지에 남겨놓고 밤마다 돌아와 애지중지 먹이고 보살펴준다.

이렇게 자라 둥지를 떠난 어린 슴새는 7년여간 자유로운 비행을 하다 짝을 찾고, 섬으로 다시 돌아와 부모가 그랬던 것처럼 격렬하고 치열하게 새끼를 키워낼 것이다. 이 아름다운 자연의 섭리에 숙연해진다.

국립생물자원관 황재웅 환경연구사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