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 8년 전 '영남 참패' 판박이..군수 1명·광역의원 10명만 건져

최상원 2022. 6. 2. 19:06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1일 치러진 부산·울산·경남의 지방선거 성적표는 국민의힘(옛 새누리당)이 완승하고 더불어민주당(옛 새정치민주연합)이 참패한 2014년 지방선거 결과와 판박이다.

영남권의 기초단체장 선거는 국민의힘이 부산·울산·경남·대구·경북 5곳을 모두 석권한 광역단체장 선거 결과와 다르지 않다.

노무현 전 대통령의 고향이자 지역 국회의원 2명 모두 민주당 소속인 경남 김해에서도 12년 만에 시장직을 국민의힘에 넘겨줬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6.1 지방선거]부·울·경· 대구·경북 시도지사 전패
박형준 부산시장 당선자, 김두겸 울산시장 당선자, 박완수 경남도지사 당선자(왼쪽부터)가 지난 1일 밤 당선을 확정 지은 뒤 손을 들어 환호하고 있다. 각 선거캠프 제공

1일 치러진 부산·울산·경남의 지방선거 성적표는 국민의힘(옛 새누리당)이 완승하고 더불어민주당(옛 새정치민주연합)이 참패한 2014년 지방선거 결과와 판박이다. 2009년 노무현 전 대통령 서거 뒤 민주당이 확보한 영남의 교두보가 모두 무너진 셈이다. 부산·경남이 노무현·문재인 대통령을 배출한 민주당의 전략 지역임을 고려하면 이번 선거의 후폭풍이 상당 기간 지속될 수밖에 없어 보인다.

영남권의 기초단체장 선거는 국민의힘이 부산·울산·경남·대구·경북 5곳을 모두 석권한 광역단체장 선거 결과와 다르지 않다. 영남권 70개 기초자치단체의 시장·군수·구청장 선거에서 국민의힘이 62곳을 쓸어담았다. 부산 16곳과 대구 8곳은 모두 국민의힘이 차지했다. 4년 전 지방선거 때 영남권에서 26명의 시장·군수·구청장을 당선시켰던 민주당은, 이번 선거에선 재선에 도전한 장충남 경남 남해군수 1명만 당선시켰다. 노무현 전 대통령의 고향이자 지역 국회의원 2명 모두 민주당 소속인 경남 김해에서도 12년 만에 시장직을 국민의힘에 넘겨줬다.

영남권 무소속 당선자 6명이 모두 국민의힘 출신인데다 재입당 가능성도 열려 있어, 국민의힘 소속 기초자치단체장은 더 늘 수 있다. 영남권에서 국민의힘이 아닌 정당 소속 당선자는 울산 동구청장 선거에 나섰던 김종훈 진보당 후보가 유일하다.

부산·울산·경남 광역의회도 국민의힘이 압도적 다수당 지위에 올랐다. 지역구 광역의원 당선자 119명 중 117명이 국민의힘 소속이다. 민주당 소속은 2명(경남도의회)만 살아남았다. 대구시의회도 시의원 29명 모두 국민의힘 소속이 당선됐다. 55명을 뽑은 경북도의회는 무소속 3명을 제외한 당선자 52명이 국민의힘 소속이다. 비례대표 광역의원을 포함하더라도 민주당 당선자는 부산 2명, 대구 1명, 울산 1명, 경남 4명, 경북 2명에 그친다.

다만 교육감 선거에선 진보 성향의 박종훈 후보(경남)와 노옥희 후보(울산)가 각각 3선과 재선에 성공했다. 부산에서는 진보 성향 김석준 후보가 3선에 도전했으나 보수 성향 하윤수 후보에게 패배했다.

진시원 부산대 교수(사회교육학)는 <한겨레>와 한 통화에서 “정당투표 득표율을 보면, 부산 민심은 2020년 총선 때부터 바뀌기 시작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런데 민주당은 이런 신호에 기민하게 대응하지 못했다”며 “보수로 돌아선 부산 민심의 키를 쥔 것은 윤석열 정부다. 성공하면 보수색이 짙어지겠지만, 실패하면 다시 돌아설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고 했다. 박재율 지방분권전국회의 공동대표는 “거대 양당이 (선거 때마다) 번갈아 승자와 패자가 되는 모양새가 이어지고 있다. 소수 정당의 의회 진출을 돕는 선거제도의 근본적 개선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신동명 최상원 김광수 김영동 김규현 기자 csw@hani.co.kr

Copyright © 한겨레신문사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