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1 지선] 巨野 심판·국정안정 택한 민심.. 국힘 '완승'

정호영 2022. 6. 1. 23:50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6·1 지방선거에서 민심은 집권여당 국민의힘에 힘을 실어줬다.

인천시장 선거도 유정복 국민의힘 후보(51.2%)가 박남춘 민주당 후보(45.7%)보다 우세했다.

영남권 5곳은 국민의힘 후보들이 큰 폭으로 앞서 '싹쓸이'가 확정적이며, 충남·충북·강원에서도 국민의힘 김태흠(54.1%)·김영환(56.5%)·김진태(54.9%) 후보가 민주당 양승조(45.9%)·노영민(43.5%)·이광재(45.1%) 후보에 비해 당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출구조사서 與 광역 10곳 우세.. 최대 13곳 가능성
국민의힘 이준석 대표와 권성동 원내대표 등 지도부들이 1일 국회 도서관 대강당에 마련된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 개표상황실에서 출구조사가 발표 되자 환호하고 있다. [사진=국회사진취재단]

[아이뉴스24 정호영 기자] 6·1 지방선거에서 민심은 집권여당 국민의힘에 힘을 실어줬다. 새롭게 출범한 윤석열 정부의 안정적인 국정운영을 택한 것이다. 167석 거대야당 더불어민주당에 대한 심판·견제론도 크게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1일 발표된 KBS·MBC·SBS 등 방송 3사 출구조사 결과 17곳 광역단체장 선거 중 국민의힘은 10곳(서울·인천·부산·울산·대구·강원·충북·충남·경북·경남)에서 우위를 점했다.(95% 신뢰수준·표본오차 ±1.5~4.3%포인트)

구체적으로 서울시장 선거에서 오세훈 후보는 58.7%로 송영길 민주당 후보(40.2%)를 앞섰다. 인천시장 선거도 유정복 국민의힘 후보(51.2%)가 박남춘 민주당 후보(45.7%)보다 우세했다. 영남권 5곳은 국민의힘 후보들이 큰 폭으로 앞서 '싹쓸이'가 확정적이며, 충남·충북·강원에서도 국민의힘 김태흠(54.1%)·김영환(56.5%)·김진태(54.9%) 후보가 민주당 양승조(45.9%)·노영민(43.5%)·이광재(45.1%) 후보에 비해 당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민주당은 호남권 3곳(광주·전북·전남)과 제주 등 4곳에서만 우세를 보였고, 나머지 경기·대전·세종 3곳은 경합이었다. 경합 3곳에서도 국민의힘이 근소하게 앞섰다. 이같은 예측이 최종 결과로 이어질 경우 국민의힘은 최대 13곳에 깃발을 꽂을 수 있다. 직전 2018 지방선거에서 민주당에 14곳을 내준 것을 설욕한 셈이다.

대선 승리 여세를 몰아 지방선거까지 2연승을 한 국민의힘은 압도적 여소야대 정국을 돌파할 모멘텀을 확보하게 됐다. 당장 하반기 원구성 협상에서 쟁점인 국회 법제사법위원장 반환을 강력 요구할 것으로 보인다. 아울러 정부여당을 향한 민심을 재확인한 만큼 대선 및 지방선거 공약 현실화 방안에 주력할 것으로 관측된다.

박지현 더불어민주당 공동상임선대위원장(왼쪽 세번째부터)과 이재명 총괄선거대책위원장, 윤호중 공동상임선대위원장이 박홍근 공동선대위원장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 투표일인 1일 저녁 서울 여의도 국회의원회관에 마련된 더불어민주당 개표상황실에서 더불어민주당이 광역단체장에서 4곳에서 1위로 하는 결과가 나오자 침통한 표정으로 출구조사 결과를 지켜보고 있다. [사진=김성진 기자]

민주당의 주요 패인으로는 대선 이후 과반 의석을 앞세워 '위장 탈당', '회기 쪼개기' 등 편법을 동원해 입법을 단독 추진했던 '검수완박(검찰 수사권 완전 박탈)' 논란이 거론된다. 2년 전 총선 대승 후 민주당의 간헐적 '입법 독주'에 이제는 제동을 걸어야 한다는 국민적 문제의식이 이번 지방선거에 크게 작용했다는 주장이다.

신율 명지대 정치외교학과 교수는 이날 아이뉴스24와의 통화에서 국민의힘 승리로 귀결된 이번 지방선거 결과에 대해 "민주당이 굉장히 부정적인 이미지를 많이 쌓아왔기 때문"이라고 평가했다.

신 교수는 "민주당이 최근 막강한 입법권력을 갖고 검수완박을 단독 처리했는데, 그 자체가 이미 자신들의 주거 문제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는 (민주당 주도의) '임대차 3법'을 떠올리게 한 것"이라며 "그런 것이 정권안정론과 연결됐다고 볼 수 있다"고 설명했다.

/정호영 기자(sunrise@inews24.com)

▶네이버 채널에서 '아이뉴스24'를 구독해주세요.

▶재밌는 아이뉴스TV 영상보기▶아이뉴스24 바로가기

[ⓒ 아이뉴스24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pyright © 아이뉴스24.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