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린세상] 팬데믹 종료, 과학이 아니라 사람이 정한다/조현욱 과학과 소통 대표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대체 코로나19 팬데믹이 끝나기는 할 것인가?' 지난주 미국 뉴요커에 실린 기고의 제목이다.
"팬데믹은 부분적으로는 사람들이 '끝났다'고 선언할 때 종료된다고 나는 믿는다." 미국 뉴햄프셔대 역사학과 메리언 도르시의 말이다.
"팬데믹은 사람들이 더이상 그것에 신경을 쓰지 않을 때 종료된다. 나머지는 감염력, 백신, 치료법의 조합에 따라 결정된다. 지금 거의 그 시점에 가까워지고 있는 듯하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사람들이 신경쓰지 않을 때가 '종료'
기후변화로 새 유행병 그치지 않을 것
‘대체 코로나19 팬데믹이 끝나기는 할 것인가?’ 지난주 미국 뉴요커에 실린 기고의 제목이다. 급박한 위기는 지났지만 앞으로도 오랫동안 간헐적 유행이 계속될 것이라고 기사는 분석했다. 사람들이 지속되는 생활 제한에 지친 데다 감염률이 높은 변종이 계속 나타날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일부 전문가의 추산에 따르면 올해 가을, 겨울 미국에서 1억명의 환자가 발생할 수 있다고 한다. 하지만 전염병의 대유행은 언젠가 끝나게 된다. 인류는 천연두를 비롯해 수많은 팬데믹을 겪고 살아남았다. 역사상 가장 치명적이었던 것은 14세기 흑사병이었다. 유럽 인구의 3분의1 이상을 포함해 최대 2억명이 사망한 것으로 추정된다. 최근의 사례로는 결핵, 러시아독감, 스페인독감, 아시아독감, 콜레라, 홍콩독감, 에이즈, 그리고 코로나19가 있다.
그럼 이번 코로나19는 언제 끝나는가? ‘팬데믹이 끝나는 시기는 과학이 아니라 사람들이 결정한다’. 지난 3월 과학잡지 사이언티픽 아메리칸에 실린 기사의 제목이다. 코로나19 팬데믹이 실제로 ‘종료’된 것을 우리는 정확히 언제 알게 될 것인가? 역학(전염병학)보다는 사회학이 이런 시기를 결정하는 데 더 큰 몫을 한다. 병 자체는 어느 정도 수준으로 계속 유행할 가능성이 크지만 심각한 국면은 지났다고 믿는 사람들이 늘고 있다.
“팬데믹은 부분적으로는 사람들이 ‘끝났다’고 선언할 때 종료된다고 나는 믿는다.” 미국 뉴햄프셔대 역사학과 메리언 도르시의 말이다. 그는 1918년의 스페인독감을 비롯해 과거의 팬데믹을 연구해 온 전문가다. 물론 역학적 종료 시점은 있다. 여전히 병이 돌고 있지만 중증률이나 사망률이 더이상 치솟지 않는 시기다. 하지만 실제 현실에서의 종료는 사람들의 행태에 달려 있다. “사람들이 마스크를 쓰지 않고, 혹은 순전히 재미로 상점에 걸어 들어갈 때”를 도르시는 강조한다. 공식적 선언이 있든 없든 “하나의 사회로서 우리가 종료된 것처럼 행동할 때” 비로소 종료의 실질적 의미가 있다는 것이다. 역사학자이자 1918년 독감을 다룬 결정판을 저술한 존 배리도 이와 비슷한 결론을 내린다. “팬데믹은 사람들이 더이상 그것에 신경을 쓰지 않을 때 종료된다. 나머지는 감염력, 백신, 치료법의 조합에 따라 결정된다. 지금 거의 그 시점에 가까워지고 있는 듯하다.”
지금까지의 통계는 참혹하다. 지난 30일 현재 세계의 누적 확진자는 5억 3100만명, 사망자는 631만명을 기록했다. 다행인 것은 신규 환자와 사망자가 지난 1월 최대치를 기록한 뒤 계속 줄고 있다는 점이다. WHO가 지난주 주례 동향 보고에서 밝힌 내용이다. 우리나라는 어떨까. 누적 확진자 1800만명, 누적 사망자 2만 4000명이다. 사망률은 0.13%. 세계 평균 1.2%의 10분의1 수준이다. 지난 일주일 신규 확진자 수는 하루 평균 1만 7000명 선이다.
문제는 다음 팬데믹이 언제든 발생할 수 있다는 점이다. 영국 왕립국제문제연구소의 2월 보고서에 따르면 사람과 가축, 야생동물이 가깝게 접촉하는 어디에서든 발생이 가능하다. 대개의 감염병이 동물 병원체가 사람에게 옮겨지면서 발생해 왔기 때문이다. 그리고 이런 위험은 벌채나 도시화, 가축 사육 증가에 맞춰 높아진다. 모두 기후변화의 주범으로 꼽히는 요소들이다. 야생동물이 서식지를 잃거나 가축 사육이 늘면서 사람과 동물의 접촉 기회가 함께 늘고 이에 맞춰 병원체가 동물에게서 사람으로 옮겨질 가능성이 그만큼 커지는 것이다. 그리고 이 병원체가 사람 간 감염이 쉬워지도록 변이하면 유행병이 된다. 다음 팬데믹이 그리 멀지 않은 장래에 또 나타날 가능성을 많은 전문가들이 인정하고 있다. 인간이 그럴 가능성을 계속 키우는 탓이다.
▶ 밀리터리 인사이드 - 저작권자 ⓒ 서울신문사 -
Copyright © 서울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