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루나 사태'에 놀랐나?..문체부 "P2E 허용 추진 안해"

정인아 기자 2022. 5. 31. 18:27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앵커] 

게임을 통해 가상자산을 얻을 수 있어 이른바 '돈 버는 게임'으로 불리는 P2E 게임. 

이 P2E 게임의 국내 허용을 두고 정부가 갈피를 잡지 못하고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 정인아 기자와 알아보겠습니다. 

주무 부처인 문체부가 P2E 게임 국내 허용에 부정적인 입장이군요? 

[기자] 

문체부는 P2E 게임의 국내 허용과 관련해서 "추진하고 있는 사안이 없다"고 밝혔습니다. 

게임산업법상 게임으로 얻은 재화는 현금과 거래할 수 없다는 내용이 있어 P2E 게임 허용이 법을 위반한다는 설명이었습니다. 

문체부 산하 게임물관리위원회도 사행성을 이유로 P2E 게임에 '등급분류'를 내주지 않고 있습니다. 

[앵커] 

그런데 앞서 새 정부가 P2E 게임 허용을 추진할 가능성을 보이지 않았나요? 

[기자] 

새 정부 출범 전 대통령직인수위원회의 국정과제 이행계획서에 관련 내용이 나와있습니다. 

"블록체인·NFT 등 신산업 육성정책을 추진함에 있어 가상자산 등 관련 부처와의 협력이 필요하다"면서 "P2E 게임 허용 및 산업 활성화"를 거론했습니다. 

담당 부처인 문체부와 협력할 필요성도 언급했습니다. 

윤석열 대통령은 후보시절이었던 지난 1월 '게이머가 우선이다'라는 내용의 게임 공약을 발표하기도 했는데요. 

여기에서 P2E 허용에 대한 질문이 나오기도 했습니다. 

[하태경 / 국민의힘 게임특별위원장(지난 1월) : 기본 원칙만 말씀드리자면 게임 이용자, 게임 소비자의 권익 보호를 최우선으로 해서 P2E 문제에 접근하겠다. 이 정도까지 말씀드리겠습니다.] 

[앵커] 

'루나 사태'로 인해 떨어진 가상자산의 신뢰가 회복되기 전까진 P2E 게임 허용도 쉽진 않을 것 같은데요? 

[기자] 

P2E 허용이 자칫 '루나 사태'처럼 이용자의 금전적 피해로 이어질 수 있다는 우려 때문입니다. 

다만 게임업계에선 P2E 게임 내에서 적용되는 가상자산이 루나와 다르게 안정적이라고 주장하는데요. 

자체 가상화폐 위믹스를 발행하고 달러와 연동되는 스테이블코인 위믹스달러를 도입하는 등 가장 적극적인 게임회사가 위메이드입니다. 

장현국 대표가 조금 전 저희 방송에 출연해 언급한 내용 들어보시죠. 

[장현국 / 위메이드 대표 : 스테이블 코인이 스테이블(안정적)해야 한다는 생각 때문에 저희가 저희 경제를 운용하기 위해서 위믹스 달러가 1억 불이 필요하면 1억 불 현금을 예치하려고 합니다. 게임의 결과가 실질의 경제적 가치를 갖고 경제적 행위로 연결되는 것 자체를 등한시하는 것은 좀 미래에 맞지 않다고 보고요.] 

게임을 통해 얻는 가상자산이 현실적 경제 가치를 갖도록 안정화하는 건 가상 자산의 위험성을 어느 정도 낮출 수 있습니다. 

다만, 게임의 몰입도를 높이는 수단을 넘어 그것 자체가 목적이 되는 '사행성' 우려를 불식시키는 데는 시간이 필요해 보입니다. 

[앵커] 

정인아 기자, 잘 들었습니다.

네이버에서 SBS Biz 뉴스 구독하기!

평소 궁금했던 브랜드의 탄생 이야기! [머니랩]

저작권자 SBS미디어넷 & SBS I&M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Copyright © SBS Biz.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