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고자료)민관이 부산세계박람회 유치 위해 힘 모으기로

2022. 5. 31. 16:06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 정부는 5월 31일(화) 2030 세계박람회 개최 신청지인 부산(북항)에서 「2030 세계박람회 유치전략회의」를 개최하였다.

ㅇ 산업통상자원부는 ①2030 부산세계박람회 범국가 유치 전략, 외교부는 ②유치교섭계획, 해양수산부는 ③부지조성계획을 각각 발표하였고, 「부산세계박람회 유치지원 민간위원회」 출범식도 함께 진행되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민관이 부산세계박람회 유치 위해 힘 모으기로


- 「2030 부산세계박람회 유치전략회의」 부산에서 개최


- 유치체계 강화, 민관네트워크 총동원 등 5대 전략 제시


- 부산세계박람회 유치지원 민간위원회 공식 출범


 

□ 정부는 5월 31일(화) 2030 세계박람회 개최 신청지인 부산(북항)에서 「2030 세계박람회 유치전략회의」를 개최하였다.

 

ㅇ 이번 전략회의는 ‘23.11월 세계박람회 개최지 결정을 앞두고, 범국가 유치역량을 결집하기 위해 마련되었으며, 정부, 공공기관, 기업, 국회, 부산시 관계자 등 30여명이 참석하였다.

 

* (‘21.6) 세계박람회 유치신청서 제출 → (‘22.6) 유치후보국 제2차 PT(최초로 대면 진행) → (‘22.9) 유치계획서 제출 → (‘23.3) 현지실사 → (‘23.11) 개최지 최종 결정

 

ㅇ 산업통상자원부는 ①2030 부산세계박람회 범국가 유치 전략, 외교부는 ②유치교섭계획, 해양수산부는 ③부지조성계획을 각각 발표하였고, 「부산세계박람회 유치지원 민간위원회」 출범식도 함께 진행되었다.

 

 


「부산세계박람회 유치전략회의」 개요


 


 


 


◇ (일시·장소) ‘22.5.31(화), 13:40~14:40, 부산항 국제 전시컨벤션센터


 


◇ (참석자) ▴[정부·국회] 산업·외교·해수부 장관, 국회 세계박람회 유치지원특별위원장
▴[기업] 대한상의 회장, 국내 주요 기업 CEO 등
▴[공공기관] KOTRA 사장, 한국관광공사 사장, KOICA 이사장 등


 


◇ (주요내용) (정부) 「2030 세계박람회 범국가 유치전략」(산업부)


「2030 세계박람회 유치교섭 계획」(외교부)


「2030 세계박람회 부지조성 계획」(해수부)
(민간) 「부산세계박람회 유치지원 민간위원회」 출범식


【 정부 : 유치전략 발표 】

 

1


 


2030 세계박람회 범국가 유치전략(산업부)


 

□ 산업통상자원부(장관 이창양)는 「2030 세계박람회 범국가 유치전략」을 발표하고, 3대 강국 브랜드를 활용한 5대 유치전략을 제시하였다.

 

(유치체계 강화) 범부처 유치역량 강화를 위해 국무총리 소속 「2030 부산세계박람회 유치위원회」를 6월 중 신설*

 

* 민간 유치위와 정부 유치지원위 통합 → 총리 소속 유치위(국무총리-민간 공동위원장)

· 「2030 부산세계박람회 유치위원회의 설치 및 운영에 관한 규정」(대통령령) 제정(6월 중)

 

(3대 강국 브랜드 기반 개최역량 부각) 열린 경제강국, 최첨단 산업강국, 창의적 문화강국 등 우리의 3대 강점을 부각하여 유치활동 전개

 

ㅇ BIE 총회 PT, 유치계획서, 현지실사 등 주요 유치일정에 우리의 3대 강국 브랜드를 적극 활용하여 세계박람회 부산 개최 필요성을 설명

 

<3대 강국 브랜드>

열린 경제강국


세계 10대 경제대국으로서 개도국-선진국간 가교 역할 하는 경제강국


최첨단 산업강국


반도체, 배터리, 미래차, 청정에너지 등 혁신기술을 선도하는 산업강국


창의적 문화강국


K-pop, 영화, 드라마, 웹툰 등 세계에 영감을 주는 창의적 문화강국


 

(민관 해외네트워크 총동원) 정부, 기업, 공공기관, 지자체 등의 4대 협력채널을 활용하여 BIE* 170개 회원국 대상 전방위 유치 노력 강화

 

* 국제박람회기구(Bureau Internatioanl des Expositions) : 세계박람회를 주관하는 정부 간 국제기구

 

<4대 협력채널 활용 계획>

정 부


재외공관, 산업·통상협력채널, 재외한국문화원


공공기관


KOTRA·한국관광공사·KOICA·한국국제교류재단 등 공공기관 해외사업 연계 홍보


지자체


자매결연도시 대상 홍보, 부산 초청 투어


기 업


현지진출기업 중심의 투자대상국 유치지원 활동 거점 역할 수행


 

(개최인프라 조성) BIE 현지실사(‘23.3월)와 박람회 개최시기(‘30.5월)에 맞추어 개최부지부터 기반시설까지 박람회기반을 차질 없이 준비

 

(박람회 유치열기 확산) 온·오프라인, K-콘텐츠 등을 활용하여 부산세계박람회에 대한 국민적 관심과 지지 확산

2


 


2030 세계박람회 유치교섭 계획(외교부)


 

□ 외교부(장관 박진)는 「2030 세계박람회 유치교섭 계획」을 통해 주요 경쟁국 동향과 그간의 유치활동을 보고하고, 유치교섭 계획을 발표하였다.

 

ㅇ 모든 고위급 인사들의 외교활동 계기에 부산박람회 지지를 필수의제로 반영하는 등 적극 홍보하고, 주요 BIE 회원국에 인지도와 영향력 있는 인사를 부산박람회 특사로 파견

 

ㅇ 또한, 주요 국제행사 계기를 적극 활용하여 부산박람회 유치 활동을 전개하고, 105개 재외공관을 통한 유치활동 및 주한외교단에 대한 홍보를 강화

 

ㅇ 아울러, 세계박람회 유치위원회를 중심으로 민·관이 유기적으로 협업하는 한편, 각 교섭 주체들이 “Korea One Team”으로 움직여 총력외교를 통해 대외 교섭 역량을 응집하고 시너지를 극대화

 

3


 


2030 세계박람회 부지조성 계획(해수부)


 

□ 해양수산부(장관 조승환)는 「2030 세계박람회 부지조성 계획」을 통해 박람회 예정부지인 부산항 북항의 통합 재개발 사업(1단계·2단계)에 대한 진행 상황과 향후 추진계획을 발표하였다.

 

ㅇ 먼저 1단계 재개발사업은 금년말까지 부지조성 공사를 완료하고, 교통, 공연, 관광 등 박람회 유치를 위한 주요 기반시설을 확충

 

* 교통 : 지하차도(’24.6), 복합환승센터(’26.11), 트램(’27.7) / 공연 : 오페라하우스(’24)
관광 : 마리나(’23년초 준공), 상업·숙박(’27년까지 단계적 개장)

 

ㅇ 또한, 부산항기념관(‘24.12), 해양레포츠컴플렉스(’24.12) 등의 공공시설도 단계적으로 개장하여, 1단계 지역을 해양관광중심지로 조기 활성화

 

ㅇ 2단계 사업(박람회 전시관 부지)의 경우, 예비타당성조사를 조기에 완료하여, BIE 현지실사 과정에서 우리나라의 준비상황을 강점으로 부각

 

ㅇ 또한, 2단계 부지 내에 위치한 항만시설 및 철도시설을 ‘27년까지는 이전·재배치함으로써 박람회가 개최될 경우 부지 조성 및 전시관 건립공사가 차질 없이 준비될 수 있도록 지원

【 부산세계박람회 유치지원 민간위원회 출범 】

 

□ 이날 전략회의 직전에는 부산세계박람회 유치지원 민간위원회(위원장 최태원 대한상의 회장, 이하 ‘유치지원 민간위’) 출범식도 개최되었다.

 

ㅇ 유치지원 민간위원회에는 대한상의를 중심으로 삼성, SK, 현대차 등 주요 기업, 전국 72개 지역상공회의소, 해외한인기업협회 참여

 

ㅇ 기업은 해외 진출 국가 대상 중점 유치 교섭, 비즈니스 포럼 개최, 유통망을 활용한 홍보 등 박람회 유치활동을 적극 지원

 

 

Copyright © 정책브리핑.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