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사이자 예술가가 펼친 '생과 사의 사분면'

2022. 5. 31. 11:32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조명을 낮춘 한쪽 벽면을 80대 후반에 접어든 노인의 옆모습이 가득 메웠다.

"8년 전 요양병원에 있을 때 만난 환자예요. 만성 폐질환이 있어 고농도 산소 호스로 호흡에 도움을 받고 있어요." 노인의 얼굴 옆으론 그의 젊은 시절 사진이 붙어 있다.

의사이면서 작가인 김승범(45)의 '생과 사의 사분면'(6월 12일까지·아트스페이스엣) 전은 제목처럼 삶과 죽음을 주제로 한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김승범, 미디어아트 첫 개인전
요양병원 노인·도로위 잎사귀
X·Y축, '+'는 삶 '-'는 죽음 의미
관람객, 사진 보고 면에 점찍어
"의사는 죽음 가까이 있는 사람"
인터랙티브 미디어 아트 ‘생과 사의 사분면’ 전을 선보이고 있는 김승범 작가와 그의 작품.[아트스페이스엣 제공

조명을 낮춘 한쪽 벽면을 80대 후반에 접어든 노인의 옆모습이 가득 메웠다. “8년 전 요양병원에 있을 때 만난 환자예요. 만성 폐질환이 있어 고농도 산소 호스로 호흡에 도움을 받고 있어요.” 노인의 얼굴 옆으론 그의 젊은 시절 사진이 붙어 있다.

의사이면서 작가인 김승범(45)의 ‘생과 사의 사분면’(6월 12일까지·아트스페이스엣) 전은 제목처럼 삶과 죽음을 주제로 한다. 20여년간 임상의사로 활동하며 예술가로 자신의 내면을 드러냈던 김승범의 첫 개인전은 지금껏 한 번도 보지 못한 세계로 관객을 이끈다.

전시는 관객의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하는 인터랙티브 미디어 아트로 기획됐다. 최근 서울 강남구 아트스페이스 엣에서 만난 김승범 작가는 “관람객들이 정신과 상담을 받는 것 같다는 이야기를 많이 한다”고 말했다.

이 전시는 기획의 독특함이 강렬한 호기심을 던진다. 작가의 “이과적 상상력”과 그의 내면에 침잠한 무수히 많은 이야기가 전시의 원천이 됐다.

전시는 작가가 일상에서 포착한 수백 장의 사진 중 많게는 30여 장을 선별해 한 장씩 보고, 사분면 분석을 하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작가와 관객이 일대일 대면을 한다는 점이 오프라인 전시의 특별함을 살렸다. 사분면은 x축과 y축 모두 ‘플러스(+)’ 쪽은 생(살아있는, 생명이 있는), ‘마이너스(-)’ 쪽은 사(죽어있는, 생명이 없는)로 정해뒀다. 여기에 x축은 절대적·객관적 기준, y축은 상대적·주관적 기준으로 삼았다.

요양병원에서 호흡기에 의지해 하루하루를 견디는 노인, 도로 위 수채 구멍에서 피어난 푸른 잎사귀, 한겨울을 견디는 메마른 나뭇가지, 끊임없이 파동을 일으키는 물결…. 관람객은 사진에서 받아들인 생사의 기준을 사분면 안에 점으로 찍는다. 관람객이 100명이라면 100개의 시선으로 100개의 점이 만들어지는 전시다.

“제가 찍은 사진을 재료 삼아 관객들은 자신의 머릿속 세계를 비춰 보고 어딘가에 점을 찍는 거죠. 무생물의 사진을 보고 누군가 y축 플러스에 점을 찍었다면, 죽음의 물리적 정도에 대한 해석보다는 주관적 생명력을 더 강하게 느꼈다는 거겠죠.”

이 과정을 통해 김 작가는 “우리가 가진 각자의 고유한 시선이 서로 충돌하지 않고, 우열 없이 놓여지길 바란다”고 했다.

인간의 삶에서 쉽게 풀 수 없는 난제인 죽음을 사분면 안으로 가져오자, 관람객은 삶과 죽음을 직면하며 각자의 시선을 마주한다. 전시는 즐거운 호기심으로 찾았다가, 묵직한 질문과 함께 떠나게 된다. 관객들이 사분면 안에 남긴 점은 NFT 작품으로도 선보일 계획이다.

“우리는 죽음에 가까이 있으면서도, 죽음이 오지 않을 것처럼 살아가요. 의사는 다른 사람들보다 죽음에 더 가까이 있고, 그걸 알아보고 있는 사람들이에요. 생사에 집착하고, 동정과 희망을 느끼면서도, 작은 벌레들을 아무렇지도 않게 죽이기도 해요. 그게 인간이고, 그게 삶과 죽음에 대한 우리의 자세인지도 모르겠어요. 우리는 살기 위해 옳고 그름을 만들어내고, 그것을 중요한 축으로 삼고 있을 뿐이니까요. 잠깐이라도 멈춰서 깊이 있게 돌아보는 것도 가치가 있을 거라 생각해요.”

고승희 기자

shee@heraldcorp.com

Copyright © 헤럴드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