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수첩]반도체 핵심 인재 양성이 대학 정원 늘리기?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세계적 반도체 전문가인 이종호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이 반도체 인력난 해결의 대안으로 대학 정원 증설을 내놓았다.
30일 반도체 산업계, 4대 과학기술원 총장 등과 간담회를 갖고 과기원내 학사급 100명 정원 증원, 석ㆍ박사급 향후 5년내 380명 추가 양성 등의 대책을 발표했다.
최소한 대학 내에서 반도체를 구상해보고 설계ㆍ제작ㆍ테스트ㆍ리비전 등의 전과정을 다 접해보고 현장 인턴 경력도 쌓은 인력들이 필요하다.
요즘에는 반도체 굴기를 위해 만인계획 등을 통해 해외 인재 빼내기에 혈안이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아시아경제 김봉수 기자] 세계적 반도체 전문가인 이종호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이 반도체 인력난 해결의 대안으로 대학 정원 증설을 내놓았다. 30일 반도체 산업계, 4대 과학기술원 총장 등과 간담회를 갖고 과기원내 학사급 100명 정원 증원, 석ㆍ박사급 향후 5년내 380명 추가 양성 등의 대책을 발표했다.
반도체 업계의 인력난은 이미 심각한 상황이다. 오죽했으면 삼성전자는 최근 300명의 디스플레이 부문 인력들을 반도체 부문으로 전환시켰다. SK하이닉스가 지난해 고액의 성과급을 내걸고 인력 스카웃에 나서자 삼성전자에서 대규모 인력이 이탈하는 등 업계간 물고 물리는 인력 다툼도 심각한 상황이다. 글로벌 공급망 재편과 신냉전 구도, 미ㆍ중 기술 패권 경쟁 등에서 핵심으로 떠오른 반도체 산업의 우위를 유지하기 위해선 이같은 반도체 인력난 해소가 최우선 과제다.
이 장관이 취임 직후 첫 번째 정책 대안으로 반도체 인력 공급 방안을 마련한 것은 바람직하다. 그러나 단순히 학사, 석ㆍ박사 과정의 학생 정원을 늘리는 것이 전부가 아니다. 좀 더 디테일하게, 현장의 급박한 수요에 대응할 수 있는 탄력적이고 세밀한 정책이 필요하다. 산업 발전 동향을 감안한 중장기적 인재 양성 및 유지 관리도 필수다. 그런 면에서 이번 대책은 세계적 반도체 전문가라는 이 장관의 '첫 작품' 치고는 다소 무신경하다는 느낌이 들 정도로 투박하다.
어떻게 하면 숙련된 인력을 최대한 빠르게 공급할 수 있냐에 대해 적극적으로 고민해야 한다. 반도체 연구ㆍ생산 현장에서는 무엇보다 당장 현장에 투입될 수 있는 숙련된 인재를 원한다. 최소한 대학 내에서 반도체를 구상해보고 설계ㆍ제작ㆍ테스트ㆍ리비전 등의 전과정을 다 접해보고 현장 인턴 경력도 쌓은 인력들이 필요하다. 그러나 현재 대학에서 양성되는 인력들은 일반 전자공학과 같은 경우 잘해야 2년 정도 전공 과목으로 겉핥기 식 학습만 한 게 전부인 경우가 많다. 반도체 계약학과도 있지만 4년간 학사 수준의 교육으로는 한계가 있다. 대안으로 학계나 반도체 업계에선 5~6년의 학ㆍ석사 통합 과정 신설을 통해 훈련된 전문 인력을 공급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뿐만 아니라 반도체 등 4차산업 혁명 시대에 대응하기 위해 수도권 대학 정원의 조정이나 커리큘럼 개편 등 산업 변화에 대응한 전반적인 대학 교육 시스템 개편을 시급히 고려해야 할 시기다.
중견ㆍ중소기업에 대한 배려도 필요하다. 사실 삼성전자ㆍSK하이닉스 같은 곳은 인력이 필요하더라도 지원자가 엄청나기 때문에 큰 문제가 아니다. 그러나 비교적 처우가 열악한 국내 장비ㆍ팹리스업체들의 경우 인력 먹이 사슬의 최하층에 놓여 있어 써 먹을 만 하면 퇴사를 반복하는 악순환에 처해 있다. 더불어 많은 재원을 투자해 양성한 국내 인재와 노하우가 중국 등 해외에 유출되지 않도록 하는 한편, 외국 유학생ㆍ교포 등의 인재들을 끌어들이려는 노력도 포기해서는 안 된다.
미국 등 서양에 비해 과학기술이 뒤떨어졌던 중국이 턱밑까지 치고 올라온 것은 하나부터 열까지 인재 중시 정책 때문이었다. 톈안먼 사태 당시 '주범'인 명문대 학생들을 '해외 추방'시켜 외국에 내보낸 뒤 나중에 귀국시켜 ICT 기술을 비약적으로 발전시키는 밑거름으로 활용한 게 대표적 사례다. 요즘에는 반도체 굴기를 위해 만인계획 등을 통해 해외 인재 빼내기에 혈안이다. 한국은 가장 손쉬운 타깃이 되고 있다고 한다. '반도체 초격차 강국'을 실현하기 위해선 단순 대학 정원 증설 뿐만 아니라 좀 더 세밀하고 강력하며 체계적인 인재 육성ㆍ관리 정책을 고민해야 하는 이유다.
김봉수 기자 bskim@asiae.co.kr
Copyright ©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생김새도 냄새도 다 역겨워"…한국 다녀간 칸예 아내, 때아닌 고통호소 - 아시아경제
- 손 잡고 엉덩이 토닥토닥…시아버지 과도한 스킨십에 며느리 난감 - 아시아경제
- "여자 두 명이 떡볶이 먹다가…" 잠실야구장 '인분 사건' 해프닝 - 아시아경제
- 발가벗고 씻는 모습 홍보용으로 올린 목욕탕…업체 측 "우리가 올린 것 아냐" - 아시아경제
- 도로에 웬 막대기? 다가가니 사람 다리…경찰 눈썰미에 80대 구조 - 아시아경제
- "어릴 적 트라우마 때문에"…알츠하이머 증상 김창옥, 단기 기억 상실 고백 - 아시아경제
- 알바생 속옷 잡아당겨 엉덩이 끼게 한 업주·직원, "놀이문화" 항변했지만 - 아시아경제
- "할 말을 잃었다"…전자발찌 차고 TV쇼 나온 '800억 가짜 상속녀' - 아시아경제
- 홍삼도 과일도 아니었다…폭염 추석에 불티 나게 팔린 '이것' - 아시아경제
- "승무원은 모두 알고 있다"…기내 커피의 '더러운 비밀' - 아시아경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