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도체 라이벌' 삼성 이재용·인텔 겔싱어 회동

이재덕 기자 2022. 5. 30. 22:28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한·미 정상 평택공장 방문 열흘 만
양사 경영진도 참여, 릴레이 회의
파운드리 등 협력분야 확대될 듯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사진)이 30일 팻 겔싱어 인텔 최고경영자(CEO)와 만나 협력방안을 논의했다.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과 윤석열 대통령이 지난 20일 삼성전자 평택 공장을 방문한 지 열흘 만에 반도체업계 1위와 2위 업체의 수장이 만나 반도체 분야 협력 방안에 대한 의견을 교환한 것이다.

이날 삼성전자에 따르면 이 부회장은 방한 중인 겔싱어 CEO를 만나 차세대 메모리, 시스템반도체 설계(팹리스)·위탁생산(파운드리), PC와 모바일 등 다양한 분야에서의 협력 방안을 논의했다. 이 자리에는 이 부회장과 겔싱어 CEO 외에 두 업체 경영진도 참여했다. 삼성전자에서는 경계현 DS부문장, 노태문 MX사업부장, 이정배 메모리사업부장, 최시영 파운드리사업부장, 박용인 시스템LSI사업부장 등이 배석해 인텔의 임원들과 릴레이 회의를 한 것으로 전해졌다.

삼성전자와 인텔은 반도체 시장에서 1, 2위를 다투는 ‘라이벌’ 관계다. 삼성전자는 지난해 반도체에서 823억달러의 매출을 올려 인텔(790억달러)을 제치고 다시 1위에 올랐다. 삼성전자가 인텔을 앞선 것은 2018년 이후 3년 만이다. 지난해 3월 인텔이 파운드리 시장 진출을 공식 선언하면서 앞으로 파운드리 분야에서 대만 TSMC와 삼성전자, 인텔의 ‘3파전’이 예상된다. 메모리 반도체 1위인 삼성전자는 2030년까지 파운드리 분야에서도 세계 1위로 올라서겠다는 계획을 밝힌 바 있다.

두 업체가 손을 잡을 가능성도 있다. 겔싱어 CEO는 지난해 1월 실적 발표에서 “우리 포트폴리오를 고려할 때 특정 기술과 제품에 대한 외부 파운드리 사용은 더 늘려갈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 반도체업계에서는 인텔이 주력 제품인 중앙처리장치(CPU)는 자체 생산하고, 나머지 칩셋 같은 제품은 삼성전자와 대만의 TSMC 등에 생산을 맡길 것이라는 해석이 나온다. 반도체업계 관계자는 “인텔이 글로벌 반도체 수급 불균형을 해소하기 위해서는 10나노 이하 첨단 미세공정을 보유한 삼성전자, TSMC와의 협력은 피할 수 없을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이재덕 기자 duk@kyunghyang.com

Copyright © 경향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