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 교육감 후보들, '성평등 교육' 묻자 ".."
6·1 지방선거에 출마한 광주시교육감 후보 5명 중 4명이 여성단체가 제안한 ‘성평등 교육’ 의제에 대해 별다른 입장을 내놓지 않았다. 광주시장 후보 중에서는 주기환 국민의힘 후보가 여성단체의 성평등 의제에 대한 입장을 밝히지 않았다.
광주전남여성단체연합은 30일 “광주시교육감 후보 5명에게 여성단체가 제안하는 ‘성평등 의제’에 대한 수용 여부를 질의했지만 4명이 답변하지 않았다”고 밝혔다.
여성단체는 교육감 후보들에게 “사회에 만연한 혐오와 차별, 폭력 등에 대한 해법으로 ‘성평등 교육 의무화’가 필요하다”며 광주시교육청에 ‘성평등교육센터(가칭)’ 설치를 제안했다. 성평등교육센터에서 성교육 교재를 개발하고 강사 양상, 학교에서 발생하는 성범죄 대응 및 상담 지원, 폭력예방 교육 등을 전담하도록 하자는 취지다.
하지만 이 같은 제안에 정성홍 후보만이 여성단체에 의견을 보내왔다고 한다. 정 후보는 “이미 공약으로 제시한 ‘성교육전문센터’를 ‘성평등교육센터’로 변경해 운영이 가능하다”는 취지로 답했다. 박혜자·강동완·이정선·이정재 후보는 의견을 내지 않았다.
광주시장 후보 대부분도 여성단체가 제안한 ‘성평등 의제’에 대해 수용 의견을 밝혔지만 국민의힘 후보 측은 입장을 내지 않았다. 여성단체는 돌봄의 사회적 책임확대, 성평등 노동정책관·젠더특별보조관 신설, 청소년 성착취·디지털 성범죄 피해자 지원 강화, 여성장애인 가정폭력피해자를 위한 보호시설 신설 등 6개 분야 18개 과제를 각 후보들에게 제안했다.
이에 대해 더불어민주당 강기정 후보와 정의당 장연주 후보, 진보당 김주업 후보는 “100% 수용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기본소득당 문현철 후보는 성평등 정책실 설치, 혐오표현 방지 조례 제정, 남성육아휴직 필수보장 등 자체적으로 마련한 성평등 공약을 보내왔다. 여성단체는 “주기환 국민의힘 후보 측에도 의제를 전달했지만 입장을 통보받지 못했다”고 밝혔다.
광주전남여성단체연합 관계자는 “여성가족부 폐지 등 정부 차원의 성평등 정책 약화가 우려되는 상황에서 지방자치단체의 역할이 더욱 중요해졌다”면서 “각 후보자들의 답변 내용을 검토해 민선 8기 성평등 정책에 대해 지속적으로 살펴보겠다”고 말했다.
강현석 기자 kaja@kyunghyang.com
Copyright © 경향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선관위 “김은혜 후보 재산 16억 축소 신고”
- 국민의힘, 박빙 승부처 충청·경기 잇단 방문 “예산 폭탄 확실히 투여하겠다” 공약 힘 싣기
- 이재명·윤호중·박지현 “우린 원팀”…지지층·청년 투표 호소
- ‘경기도망지사’ ‘일꾼 대 말꾼’ 조어 전쟁
- 여당 “20곳 이상 기대”…서울 구청장 ‘12년 민주당 아성’ 깨지나
- 서울시의회 권력구도 변화 올지 ‘촉각’
- 시·도지사 판세, 국민의힘 “10곳 이상 승리” 민주당 “5곳도 어려워”
- ‘양당 지도부 총출동’ 대전·세종 주목
- [영상]윤 어게인 집회, 일 ‘재특회’ 같은 난동···양꼬치 골목 찾아 “중국으로 꺼져” 충돌
- 나경원 “대통령에 국회 해산권을···탄핵 시 직무정지도 바꿔야” 극우에 ‘러브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