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0쇄 찍은 은희경.."'새의선물' 공감해준 독자의 힘"

김미경 2022. 5. 30. 16:32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한번도 절판 않고 꾸준히 증쇄했다는 것은 이 소설을 통해 던진 질문에 독자들이 꾸준히 공감해줬다는 얘기다. 작가로서 큰 힘이 된다."

"저는 스스로를 '현재의 작가'라고 생각해요. 지금을 살고 있고, 지금의 사람을 상대하면서 현재 문제를 포착하죠. 이러한 독자들이 내 곁에 있어 준 것이 제가 계속 글을 쓸 수 있는 힘입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첫 장편소설로 문운 가져다 준 작품
27년간 15권 책 냈는데 대표작 꼽혀
100쇄 출간은 출판계 기념비적 기록
"던진 질문 유효하다는 것, 작가로서 큰 힘"

[이데일리 김미경 기자] “한번도 절판 않고 꾸준히 증쇄했다는 것은 이 소설을 통해 던진 질문에 독자들이 꾸준히 공감해줬다는 얘기다. 작가로서 큰 힘이 된다.”

소설가 은희경(63)이 1995년에 쓴 첫 장편소설 ‘새의 선물’(문학동네)의 100쇄 돌파를 두고 꺼낸 소회다. 은희경은 30일 서울 서교동 카페에서 100쇄 기념 개정판 출간 간담회를 열고 “믿어준 독자와 출판사에 감사하다. 27년 전 자신에게도 칭찬한다”며 웃었다.

소설가 은희경이 30일 오전 서울 마포구 디어라이프에서 열린 장편소설 ‘새의 선물’ 100쇄 기념 개정판 출간 간담회에서 출간 소감을 밝히고 있다(사진=연합뉴스).
그는 이 책을 가리켜 “문운을 가져다 준 작품”이라면서도 “굉장히 환한 빛이자 길고도 희미한 그림자라고 생각했다”고 표현했다. 27년전 신춘문예를 통해 등단한 은희경은 주부 인생에 큰 반전이 일어날 것이란 기대와 달리, 아무 일도 생기지 않았다. 소설 청탁 하나 없자, 절박한 심정으로 대각선으로 누우면 꽉 차는 절방에 틀어박혀 첫 장편소설을 완성했다고 했다. 그렇게 탄생한 게 제1회 문학동네소설상 수상작 ‘새의 선물’이다.

100쇄 출간은 출판계에서 기념비적인 기록이다. 세대를 넘어 꾸준히 독자에게 읽혔다는 방증이다. 조세희의 ‘난장이가 쏘아돌린 작은 공’, 박경리의 ‘토지’, 김훈의 ‘칼의 노래’, 파울루 코엘류의 ‘연금술사’ 등이 100쇄를 넘긴 대표작이다. ‘새의 선물’은 12살 화자 진희의 시선으로 가족과 이웃, 다양한 인간 군상들을 관찰하는 성장소설이다. 내면을 통해 우리 사회의 세태를 폭로하고 삶의 진실을 끊임없이 묻는 작품이다.

그는 “27년 동안 15권의 책을 냈는데 첫 책을 대표작으로 꼽는 이들이 많다”면서 가끔 그림자 안에 갇힌 느낌이었다고 털어놨다. “이 책 덕분에 작가 생활을 좀더 안정적으로 할 수 있었지만 한편으론 ‘나는 이 책보다 잘 쓸 수 없는 작가인가’ 좌절하곤 했어요. 발밑에 동그라미가 그려진 느낌도 있었죠.”

소설가 은희경이 30일 오전 서울 마포구 디어라이프에서 열린 장편소설 ‘새의 선물’ 100쇄 기념 개정판 출간 간담회에서 포즈를 취하고 있다(사진=연합뉴스).
그러면서도 “정말 재밌게 썼고 가장 빨리 썼던 소설이다. 나와 글 둘만의 완전한 독대였다. 아 정말 하고 싶었던 일이 이거구나. 그런 확신이 든 소설이기도 하다”고 회상했다.

은희경은 이번 개정판을 내면서 몇몇 잘못된 용어나 표현만 손질했다. 은 작가는 “이야기의 뼈대는 바꾼 게 없지만 ‘앉은뱅이 책상’ 등 1990년대에 무심하게 썼던 장애나 여성비하 표현을 바꿨다”면서 “‘그때는 참 이런 말을 타인에게 함부로 했구나. 사회가 바뀌어 고치게 돼 다행이다’고 생각했다”고 덧붙였다.

다만 “지금의 독자가 읽기 편하도록 고쳤다는 게 아니다”며 “작가가 그 시대를 재현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해석하는 관점을 만들어주는 것이 굉장히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그 당시 감추고 싶었던 비루한 모습은 결코 포장하지 않았다. 명백히 잘못된 부분을 고쳤다”고 했다.

그러면서 “2022년 오늘날에도 여전히 우리 사회가 갖고 있는 부조리함, 여성 문제, 계급(권력) 이야기, 군사독재가 어떻게 일상에 들어왔는지를 이 소설에서 이야기하고 싶었다. 그런 질문이 여전히 유효하다고 생각한다”고 했다.

그가 요즘 천착하고 있는 이야기는 ‘몸’. 은 작가는 “몸이라는 건 어떤 인간이 가진 조건이자 타인과 관계맺기를 위한 필수적 요소”라며 “동시에 세상이 나를 평가하는 것이자 왜곡, 오해의 출발점이기도 하다”고 했다.

마지막으로 은 작가는 유독 잊히지 않는다는 독자 이야기를 꺼냈다. “한 여자 고등학생으로부터 긴 편지를 받은 적이 있어요. 사람의 선의가 악으로 갚아지는 것에 분노를 느끼던 때, 제 책을 읽고 세상의 부조리함을 받아들일 용기가 생겼다고요. 그 편지를 읽고 다정하고 따뜻한 것만이 위로인 게 아니라, 춥고 어두운 것을 똑바로 봄으로써 강해질 수 있겠구나, 위로가 될 수 있겠구나 싶었어요. 그런 독자들이 곁에 있는 것이 제가 계속 글을 쓸 수 있는 힘이라고 생각합니다.”

김미경 (midory@edaily.co.kr)

Copyright © 이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