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뷰] 채백련 빅웨이브 대표 "유언장은 인생 중간점검..웰다잉 준비물이죠"

박현욱 기자 2022. 5. 30. 07:01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죽음에 대한 부정적 인식은 다소 바뀌고 있지만 스스로 '좋은 죽음(웰다잉)'을 준비하는 것은 쉽지 않지요. 소중한 사람들에게 평소 하고 싶었던 말을 남기고 삶을 잘 마무리하도록 돕는 일이 고령사회에서는 꼭 필요합니다."

웰다잉을 추구하는 스타트업 빅웨이브의 채백련(34·사진) 대표는 29일 서울경제와의 인터뷰에서 "삶을 되돌아보고 정리할 수 있는 맞춤형 서비스가 '준비되지 않은 죽음'의 두려움을 줄이고 비용도 낮출 수 있을 것"이라며 이같이 말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웰다잉 돕는 비대면 서비스 '아이백'
자산별·상속비율 지정하면 음성유언장
3자 증인도 지원, 가족간 상속다툼 줄여줘
"예고없는 죽음..삶 되돌아보는 준비 필요"
빅웨이브 채백련대표 사진제공=빅웨이브
[서울경제]

“죽음에 대한 부정적 인식은 다소 바뀌고 있지만 스스로 ‘좋은 죽음(웰다잉)’을 준비하는 것은 쉽지 않지요. 소중한 사람들에게 평소 하고 싶었던 말을 남기고 삶을 잘 마무리하도록 돕는 일이 고령사회에서는 꼭 필요합니다.”

웰다잉을 추구하는 스타트업 빅웨이브의 채백련(34·사진) 대표는 29일 서울경제와의 인터뷰에서 “삶을 되돌아보고 정리할 수 있는 맞춤형 서비스가 ‘준비되지 않은 죽음’의 두려움을 줄이고 비용도 낮출 수 있을 것”이라며 이같이 말했다.

채 대표가 내놓은 ‘아이백(iback)’은 비대면으로 유언장을 남겨둘 수 있는 플랫폼이다. 사용자는 웹에서 사후에 전달하고 싶은 말을 편지 형식으로 기록해 두거나 유산상속을 위해 법적 효력을 갖는 유언장을 만들 수 있다. 부동산과 은행 예금, 주식 등 피상속인 자산을 항목별로 입력하고 상속인 및 비율을 지정하면 ‘아이백’ 서비스가 이를 형식에 맞도록 자동 변환한 문장을 사용자가 직접 읽어 법적 효력이 인정되는 ‘음성 유언장’을 남기는 방식이다. 채 대표는 “음성 유언장에 필수적인 제3자 증인도 지원한다”며 “일반인은 유언장 요건을 잘 모르고 변호사를 찾아가는 것도 부담인데 이들을 위한 비대면 서비스로는 국내 처음”이라고 설명했다.

3월 서비스를 선보인 후 유언장을 만든 사용자는 100여 명, 방문자도 3000명에 달한다. 그는 “한 20대 청년이 사후에 일기장을 소각해달라는 편지를 남기거나 자녀가 없는 사용자가 형제·조카 등 법정상속인이 아닌 주변 지인에게 재산을 주고 싶다는 유언장을 만든 경우도 있다”고 소개했다.

자산가가 아니어도 상속 설계는 웰다잉의 핵심이다. 실제 가족 간 상속으로 인한 법정 다툼의 상당수가 1억 원 미만의 유산을 두고 벌어지기 때문이다. 그는 “남은 가족들이 유산으로 남남이 되지 않도록 준비하는 것이 가장 중요한 사안이 됐다”며 “상속세와 관련해 세무사 등을 추천·연결해준다”고 말했다.

채 대표는 웰다잉 서비스의 경쟁력으로 유언장의 순기능을 꼽았다. 그는 “시장조사에서 어린 자녀를 둔 젊은 엄마들도 적지 않게 예고 없는 죽음에 대한 두려움을 갖고 있다는 것을 알게 됐다”며 “유언장 작성은 삶을 중간 점검하는 ‘인생 계좌’와 같은 것”이라고 강조했다.

미국 UC버클리에서 정치학을 전공한 채 대표는 우리나라 국회 비서관과 미 벤처캐피털(VC) 500글로벌(옛 500스타트업) 본사의 대표비서실총괄 등 8년간 직장을 다녔다. 가족의 투병을 지켜보면서 죽음에 대해 자문하고 사업화를 결심한 그는 귀국한 후 지난해 빅웨이브를 창업했다. 빅웨이브는 500글로벌과 디지털 헬스케어 전문 투자사 DHP에서 투자를 받았고 연초 법무법인 원과 상속 컨설팅 업무협약도 맺었다. 그는 “미국·유럽 등에서는 ‘디지털 유언장’ 이 보편화됐지만 국내는 여전히 부정적 시각이 많다”면서도 “우리도 상조 서비스처럼 죽음 준비를 일상화하는 단계를 넘어 웰다잉을 의식하는 시대로 접어들 것”이라고 전망했다.

채 대표는 연내 ‘아이백’ 애플리케이션을 내놓고 사전 연명치료 금지 동의, 장기 기증 의사 등도 남길 수 있는 서비스를 추가하기로 했다. 그는 “유가족 심리 치료 및 사후 행정처리 등 삶의 마무리까지 지원하는 종합 서비스를 제공할 것”이라며 “준비 안 된 죽음을 걱정하는 사람들을 안심시키는 회사가 되겠다”고 덧붙였다.

빅웨이브 채백련대표 사진제공=빅웨이브
박현욱 기자 hwpark@sedaily.com

Copyright © 서울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