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뜬금없는 "김포공항 이전", 아무리 선거가 급해도 이래도 되나
민주당 이재명 계양을 국회의원 후보와 송영길 서울시장 후보가 ‘김포공항 이전’을 공약했다. 이들은 “서울 강남 쪽은 (김포공항 대신) 청주공항을, 동쪽은 원주공항을 이용할 수 있다”고 했다. 제주행 관광객이 감소할 것이란 지적에 대해선 ‘KTX용 해저터널을 뚫어 대체할 수 있다’고 했다. 제주 해저터널은 전남 보길도부터 세계 최장인 73㎞를 연결한다는 구상이지만 안전성·경제성 면에서 비현실적이란 지적을 받아왔다. 영국~프랑스 간 해저 터널도 38㎞ 정도인데 그 두 배 길이의 해저터널을 마치 쉽게 뚫을 수 있는 듯 말한다.
이 후보는 “앞으로 비행기는 (활주 대신) 수직 이착륙하는 시대가 열린다”고도 했다. 그러나 현재 수직 이착륙기는 출력 문제 등으로 소형만 개발되고 있다. 미군의 수직 이착륙기 ‘오스프리’는 잦은 사고로 악명이 높다. 아직 꿈 같은 얘기다. 특히 김포는 도심 접근성이 뛰어나 비즈니스 공항으로 인기가 높다. 다른 공항이 대신할 수 없는 경쟁력이다. 인천공항의 경우 김포의 항공편을 모두 수용할 여력도 없다고 한다.
이 후보는 불과 석 달 전 대선 때는 “중국·일본 등과 직통할 수 있는 김포국제공항은 강서구의 자산”이라고 했다. 그런데 연고도 없는 인천에서 출마하자 없애야 할 ‘부채’라고 말을 바꿨다. 공항·고속철도 같은 사회 기반 시설은 중앙 정부가 수년간 타당성 조사를 하고, 천문학적 예산을 투입해야 하는 초대형 국책 사업이다. 범국가 차원에서 논의해도 모자랄 사안을 국회의원·지자체장 후보가 공약으로 내세운다. 아무리 선거가 급해도 이래도 되나.
민주당은 작년 부산시장 보궐선거 때 가덕도 신공항을 지어주겠다며 공개적으로 표 매수에 나섰다. 얻는 편익이 쓰는 비용의 절반에 불과한데도 문재인 정부는 지난달 건설안을 의결했다. 부산 시장 성추행 추문에 따른 지역 민심을 무마하려 추진했다고 해서 속칭 ‘오거돈 공항’이다. 과거에도 대선·총선을 치를 때마다 노태우의 예천공항, 김영삼의 양양공항, 김대중의 무안공항 등이 생겼다. 막대한 적자가 쌓이고 있다. 이젠 지방선거마저 ‘공항 포퓰리즘’으로 시끄럽다.
Copyright © 조선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새로운 트렌드 선보인다… 코리아나호텔 ‘135 KITCHEN & BAR’ 4월 7일 오픈
- 美에너지부, 40년 전에도 ‘韓 민감국가' 지정했다 풀었다
- “일상에 필요한 잔소리 못 들은 세대”… 현직 교사들이 본 ‘요즘 초등생’
- 라방 틀어놓고... 머리·눈썹 밀고 쇠파이프 폭행한 10대들
- IKEA to open first Seoul store in Gangdong next month
- 투수 최고액 vs 던지는 철학자...MLB 도쿄 시리즈 1차전 日선수 맞대결
- 이재명 “핵무장론 허장성세”... 與 잠룡들 “안보 대안도 없이” 일제 반발
- “청년 목소리 듣는다”… 산업부, 2030청년자문단 2기 공식 출범
- 바다 없는 우즈벡에... 울산 시장이 조선업 인력 구하러 간 까닭은
- Aespa’s encore in Seoul: A spectacular finale to their world tou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