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말글살이] 작은, 하찮은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접미사는 단어에 뿌리는 향신료다.
한국어에는 새끼를 뜻하는 단어 '강아지, 송아지, 망아지, 병아리'에 쓰인 '-아지', '-아리' 같은 접미사에 그 흔적이 남아 있다.
축소접미사라 하긴 어렵지만, '무르팍(무릎), 끄덩이(끝), 끄트머리(끝), 배때기, 사타구니(샅), 코빼기' 같은 말에 쓰인 접미사에도 대상을 속되게 부르려는 의도가 담겨 있다.
향신료가 음식의 풍미를 좌우하듯, 접미사엔 감정이 묻어 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말글살이]
김진해 | 한겨레말글연구소 연구위원·경희대 교수
접미사는 단어에 뿌리는 향신료다. ‘돌멩이’에 쓰인 ‘-멩이’처럼 어떤 말(어근) 뒤에 들러붙어 미세한 의미를 얹는다. 후춧가루처럼 애초의 의미에 풍미를 더하며 말맛을 살아나게 한다.
그중에는 대상이 보통의 크기보다 작다는 걸 표시하는 게 있다. 축소접미사라 이르는데, 이탈리아어에 흔하다. ‘빌라’(villa)보다 작은 규모의 집을 ‘빌레타’(villetta)라 하거나, 교향곡인 ‘신포니아’(sinfonia)와 달리 현악기 몇개로만 연주하는 소규모 교향곡을 ‘신포니에타’(sinfonietta)라 하는 식이다.
한국어에는 새끼를 뜻하는 단어 ‘강아지, 송아지, 망아지, 병아리’에 쓰인 ‘-아지’, ‘-아리’ 같은 접미사에 그 흔적이 남아 있다. 그런데 ‘작은 것’은 작은 것으로 끝나지 않는다. 작은 것은 귀엽고 친근하기도 하지만, 미숙하고 하찮고 보잘것없는 것이기도 하다. 그래서 작은 건 쉽게 낮잡아 보인다.
‘-아지’는 동물 아닌 대상에도 쓰이는데, ‘꼬라지’(꼴), ‘모가지’(목), ‘싸가지’(싹) 같은 말을 보면 대상을 속되게 일컫는다는 걸 알 수 있다. ‘-아리’가 들어간 ‘이파리(잎), 매가리(맥), 쪼가리(쪽)’에도 대상을 하찮게 여기는 게 묻어 있다. 축소접미사라 하긴 어렵지만, ‘무르팍(무릎), 끄덩이(끝), 끄트머리(끝), 배때기, 사타구니(샅), 코빼기’ 같은 말에 쓰인 접미사에도 대상을 속되게 부르려는 의도가 담겨 있다. 향신료가 음식의 풍미를 좌우하듯, 접미사엔 감정이 묻어 있다. 접미사가 있는 한 감정을 숨길 수 없다. 뭐든 작은 게 결정적이다.
Copyright © 한겨레신문사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 20분 만에 ‘복불복’ 마감…문 닫은 가게 열 받게 한 재기지원금
- ‘검찰수사권 축소’ 담당 재판관도 한동훈 ‘검증 도장’ 받아야 한다
- 역대 최고 지방선거 사전투표율…누구에게 유리할까
- 이준석은 어제도, 오늘도 ‘이재명 때리기’…내일도?
- 영화인생 정점 맞은 송강호…한국영화 르네상스 이끈 주인공
- 9억원 넘는 아파트 청약 64.7대 1→9.4대 1…포기도 속출
- 윤석열 사단 검사장들 6·1 지방선거 직후부터 움직인다
- “우리 지역구 아닌데…” 쏟아지는 투표전화, 해방될 방법 없나요
- ‘깐느 박’찬욱 “송강호와 따로 온 덕분에 같이 상 받았다”
- 조주빈 쫓던 ‘우리’가 사이버지옥을 무너뜨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