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머리카락 80%이상 회복했다" 원형탈모증 약 개발사 주가 급등

김주동 기자 2022. 5. 29. 14:03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미국의 한 제약사가 지난주 임상3상 중간 결과를 공개하면서 증시에서도 주목받았다.

이는 지난 23일 공개한 개발 중인 먹는 원형탈모 치료제(CTP-543)에 대한 임상3상 1차 결과가 영향을 준 것으로 보인다.

제약사는 현재 미국 FDA(식품의약국)로부터 승인 받은 원형탈모증 치료제가 없는 상황에서 이번 실험 결과가 "중요한 이정표"라고 자평하고, 임상3상 2차 실험을 거친 뒤 내년 상반기 중에 FDA에 사용 승인 신청을 하겠다고 말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미국 콘서트 파마슈티컬스 "대상자 10명 중 4명, 80% 머리카락 회복"
/사진=뉴욕포스트 트위터(사진은 업체 제공)

미국의 한 제약사가 지난주 임상3상 중간 결과를 공개하면서 증시에서도 주목받았다. 자사가 개발 중인 원형탈모증 치료약이 효과를 보였다는 게 주 내용이다.

콘서트 파마슈티컬스(종목명 CNCE)는 지난 한 주 미국 나스닥에서 30%가량 주가가 올랐다. 27일 하루에만 17% 넘게 뛰었다. 이는 지난 23일 공개한 개발 중인 먹는 원형탈모 치료제(CTP-543)에 대한 임상3상 1차 결과가 영향을 준 것으로 보인다.

뉴욕포스트에 따르면 미국 인구 3억3000만명 중 약 2%인 680만명이 이 증상을 겪고 있는데, 제약사는 모낭을 공격하는 원형탈모 증상을 되돌리는 데 목적을 두고 약을 개발하고 있다.

콘서트 파마슈티컬스가 공개한 자료에 따르면 업체는 미국, 캐나다, 유럽에서 18~65세 706명을 대상으로 24주 동안 실험을 했다. 실험 참가자들은 참가 당시 평균적으로 머리카락 85.9%를 잃은 상태였으며, 절반 이상 갖고 있던 사람은 없었다.

실험은 대상자를 △위약(플라시보) 복용 △8밀리그램씩 하루 2회 복용 △12밀리그램씩 하루 2회 복용 등 총 3개 그룹으로 나눠 진행됐다.

그 결과 12밀리그램 복용 집단의 41.5%가 머리카락을 80% 이상 회복했으며, 저용량 복용 집단에선 29.6%가 그러한 결과를 냈다고 제약사는 밝혔다. 위약 그룹에서는 0.8%에서만 같은 결과가 나왔다.

다만 업체는 참가자들이 평균적으로 어느 정도 효과를 거뒀는지는 공개하지 않았다.

부작용은 5% 미만에게서 나타났으며, 두통, 발진, 상기도 감염 등 증상이었다.

제약사는 현재 미국 FDA(식품의약국)로부터 승인 받은 원형탈모증 치료제가 없는 상황에서 이번 실험 결과가 "중요한 이정표"라고 자평하고, 임상3상 2차 실험을 거친 뒤 내년 상반기 중에 FDA에 사용 승인 신청을 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콘서트 파마슈티컬스 주가는 자료가 공개된 23일에는 하락했지만 이후 급등 추세를 보였다.

[관련기사]☞ '몸값 1조' 네이마르와 친구들, 에버랜드 떴다…"바이킹 뒷자리 스릴"김승현 母, 몰래 남편 공장 찾아갔다 '충격'…한밤 중 응급실행도레이디제인, 전 남친 쌈디가 사준 명품백 "10만원에 내놓겠다"'콩고 왕자' 조나단, 맥도날드 광고 촬영 전날 눈물 보인 까닭은?언젠간 '칸의 여신'?… 아이유 "나 나온 장면 찾다가 영화 제대로 못봤다"
김주동 기자 news93@mt.co.kr

<저작권자 ⓒ '돈이 보이는 리얼타임 뉴스' 머니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pyright © 머니투데이 & mt.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