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속보] 추경 규모 36.4조→39조, 국채 상환 9조→7.5조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여야가 29일 자영업자·소상공인 손실보상 추가경정예산(추경)안을 처리하기로 합의했다.
여야는 그동안 추경안 협상을 놓고 진통을 겪어왔으나 6·1 지방선거를 사흘 앞두고 전격 합의를 도출했다.
이 같은 지급 대상 확대와 금액 인상에 따라 추경안 실질 지출 규모는 당초 정부안 36조4000억원에서 39조원으로 확대됐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정부·여당의 계획대로 적자국채 발행 않기로
여야가 29일 자영업자·소상공인 손실보상 추가경정예산(추경)안을 처리하기로 합의했다. 여야는 그동안 추경안 협상을 놓고 진통을 겪어왔으나 6·1 지방선거를 사흘 앞두고 전격 합의를 도출했다. 추경안은 이날 오후 7시30분 본회의에서 처리된다.
여야는 쟁점 중의 하나였던 손실보전금과 관련해 지급대상 매출액 기준을 당초 정부안 30억원 이하에서 50억원 이하로 조정해 전국 371만여 사업자에게 600만원에서 최대 1000만원까지 지급하기로 했다.
또한 소상공인·자영업자 법적 손실보상의 경우에도 지급 대상을 매출액 10억원 이하 소기업에서 매출액 30억원 이하의 중기업까지 확대하고 보전율도 100%로 확대했다. 하한액도 50만원에서 100만원으로 올렸다.
이 같은 지급 대상 확대와 금액 인상에 따라 추경안 실질 지출 규모는 당초 정부안 36조4000억원에서 39조원으로 확대됐다. 지방이전 지출까지 합치면 전체 규모는 당초 59조4000억원에서 62조원으로 늘어나게 됐다.
국채 상환액은 당초 정부안인 9조원에서 7조5000억원으로 줄어든다. 당초 정부·여당의 계획대로 적자국채 발행은 하지 않기로 했다.
- Copyright ⓒ 조선비즈 & Chosun.com -
- Copyrights ⓒ 조선비즈 & Chosun.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 쇼호스트가 밝힌 홈쇼핑의 민낯, "결국 피해보는 건…"
- [위기의 따릉이]① 달릴수록 적자 나는 서울 마스코트… 13년 만에 ‘요금 인상’ 카드 만지작
- '무기' 안 만드는 한화, 韓 방산 수출의 히어로 된 비결
- "따라하지마"… 삼성, 中 '특허 침해' 더 이상 못 참는다
- [단독] 100% 보증 저금리 전세대출, 알고보니 2~3개 은행만 출시
- 국민연금 보험료율 15%로, 납부 연령은 64세로 높아질 듯
- 3년만에 오프라인 ‘갤럭시 언팩’... 역대급 성능 갤럭시S23 베일 벗었다
- ‘갤럭시 언팩’에 2000명 운집…리들리 스콧·나홍진 감독 “카메라 성능 놀랍다”
- 제4이통사에 진심인 정부… 네이버·카카오·쿠팡 후보군 부상
- 애플 ‘아이폰 고의 성능 저하’ 소송 1심서 소비자들 패소(종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