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관을 지켜내자" 日거장 고레에다 울린 박찬욱 수상소감

최혜승 기자 2022. 5. 29. 10:18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박찬욱 감독의 칸영화제 감독상 수상 도중 눈물을 훔치는 고레에다 히로카즈 감독 / 온라인커뮤니티

박찬욱 감독의 수상 소감을 들으며 눈물을 닦는 고레에다 히로카즈 감독의 모습이 카메라에 포착됐다.

박찬욱 감독은 28일(현지시각) 제75회 프랑스 칸 국제영화제에서 ‘헤어질 결심’으로 감독상을 받았다. 시상대에 오른 박 감독은 “코비드(코로나) 시대를 겪으면서 우리 인류가 국경을 높이 올린 때도 있었지만, 단일한 공포와 근심을 공유하게 됐다”며 운을 뗐다.

박 감독은 “영화도 극장의 손님이 끊어지는 시대를 겪었지만 그만큼 극장이 얼마나 소중한 것인지 우리가 깨닫는 계기가 됐다”며 “우리가 이 질병을 이겨낼 희망과 힘을 가진 것처럼, 우리 영화인들도 영화관을 지켜내면서 영화를 영원히 지켜내리라 믿는다”고 말했다.

이어 박 감독은 영화 투자 배급을 맡은 이미경 CJ그룹 부회장을 비롯해 관계자들에게 감사 인사를 전했다. 이 때 카메라에는 객석에 앉아 있는 고레에다 감독이 비쳤는데, 그는 흰색 손수건을 들고 눈물을 훔치듯 눈과 턱을 닦고 있었다.

박 감독은 시상식 후 국내 취재진과 만나 “제 영화에는 중국인 배우가 나오고, ‘브로커’는 일본 감독이 각본을 쓰고 연출했다. 아시아의 인적 자원과 자본이 교류하는 건 의미 있는 일”이라며 “1960∼70년대 유럽에서 힘을 합쳐 좋은 영화를 만드는 것을 봤는데, 한국이 중심이 돼서 이런 식의 교류가 활성화되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박 감독의 ‘헤어질 결심’에는 중국 배우 탕웨이가 주연을 맡았다. 영화 ‘브로커’는 고레에다 감독의 첫 한국영화 연출작으로, 송강호, 강동원, 이지은(활동명 아이유) 등 한국 배우들이 출연한다.

앞서 고레에다 감독은 시상식이 열리기 전 박 감독과 함께 경쟁 부문에 이름을 올리게 된 데 대해 “서로 경쟁을 벌이는 게 흥미롭고 재밌겠지만 사실 창작자들은 그런 의식을 갖고 있지 않다”고 했다. 그러면서 “유럽 영화제에 아시아 영화가 초청되는 것이 제한적이라, 상을 받으면 서로 기뻐하고 무대 뒤에선 어깨를 두드리며 격려하는 게 있다”고 말했다.

박찬욱(가운데) 감독이 배우 박해일(왼쪽), 탕웨이와 함께 지난 24일(현지시각) 프랑스 칸에서 열린 제75회 칸 국제영화제 경쟁 부문 진출작 '헤어질 결심' 포토콜 행사에서 포즈를 취하고 있다. /연합뉴스
왼쪽부터 배우 송강호, 이지은, 영화감독 고레에다 히로카즈, 배우 이주영, 강동원/뉴스1

고레에다 감독은 ‘그렇게 아버지가 된다’로 2013년 칸영화제 심사위원상을, ‘어느 가족’으로 2018년 칸 황금종려상을 수상했다.

이번 칸 영화제에선 ‘브로커’로 애큐메니컬상을 수상했다. 에큐매니컬상은 인간 존재를 깊이 있게 성찰한 예술적 성취가 돋보이는 영화에게 수여되는 상이다.

Copyright © 조선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