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T, 5G MEC 기술로 KBS 방송 송출 성공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SK텔레콤은 29일 KBS와 미디어 테크 기업 캐스트닷에라와 협력해 5세대 이동통신(5G) 모바일 에지 컴퓨팅(MEC)·방송 소프트웨어 가상화 기술을 활용한 지상파 방송 송출에 성공했다고 밝혔다.
SK텔레콤은 이 기술이 지상파 송출에 적용된 것은 세계에서 이번이 처음이라고 했다.
더 나아가 SKT, KBS, 캐스트닷에라는 수도권 일대에 미국 디지털TV UHD 방송 표준인 ATSC 3.0 기술에 기반한 지상파 이동 방송을 송출하는 시연도 현대모비스와 함께 진행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SK텔레콤은 29일 KBS와 미디어 테크 기업 캐스트닷에라와 협력해 5세대 이동통신(5G) 모바일 에지 컴퓨팅(MEC)·방송 소프트웨어 가상화 기술을 활용한 지상파 방송 송출에 성공했다고 밝혔다. SK텔레콤은 이 기술이 지상파 송출에 적용된 것은 세계에서 이번이 처음이라고 했다.
SK텔레콤에 따르면 캐스트닷에라는 SKT가 2019년 미국 최대 지상파 방송사인 싱클레어 방송그룹과 합작해 만든 회사다. SK텔레콤, KBS, 캐스트닷에라는 지난해 9월 클라우드를 기반으로 하는 차세대 방송 송출 서비스를 위한 상호협약(MOU)을 맺고 융합 방송 서비스 구축을 준비해 왔다.
앞서 지난해 KBS 본관에서는 가상 방송 송출 시스템을 통한 영상 송출 1차 시연이 이뤄졌다. 시스템 가상화에는 MEC 기술이 활용됐다. 이 기술은 데이터를 중앙서버에 보내지 않고 서비스 현장에서 처리해 통신 트래픽 부하를 줄이고 서비스 지연시간을 줄일 수 있다.
또 SK텔레콤이 자체 개발한 인공지능(AI) 반도체 ‘사피온(SAPEON) X220′을 적용한 AI 고화질 업스케일러를 통해 방송 영상 해상도를 풀고화질(FHD)에서 초고화질(UHD)로 실시간 변환하는 작업도 이뤄졌다.
1차 시연 결과를 바탕으로 이달 26일 수도권 지역 KBS 1TV UHD 전용 채널(9-3)에 실제 방송이 송출됐다. 더 나아가 SKT, KBS, 캐스트닷에라는 수도권 일대에 미국 디지털TV UHD 방송 표준인 ATSC 3.0 기술에 기반한 지상파 이동 방송을 송출하는 시연도 현대모비스와 함께 진행했다. SK텔레콤에 따르면 ATSC 3.0은 주파수에 영상, 음성은 물론 데이터까지 함께 실어 나를 수 있어 빠른 속도로 고화질 영상을 전송할 수 있다.
이동기 SKT 클라우드·MEC 테크 담당은 “앞으로도 MEC·클라우드 등 SKT의 핵심 디지털 인프라 기술로 다양한 영역에서 경쟁력 있는 서비스를 제공할 것이다”라고 했다.
- Copyright ⓒ 조선비즈 & Chosun.com -
- Copyrights ⓒ 조선비즈 & Chosun.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 "K-무기에 큰 관심" 독일제에 밀린 K2, 이곳서 재도전
- 얼굴 드러낸 조민 “더 이상 숨지 않겠다…의사 자질 충분하다 들어”
- "꼭 결혼하세요" SNS서 응원 쏟아진 '나는솔로' 커플
- 20년 걸친 승계구도… 장남 아닌 '차남'이 승기 잡았다
- [사이언스카페] 격리치료, 거리두기…방역 원조는 개미
- 삼성·SK가 점찍은 미래 먹거리… 세계 대기업도 러브콜
- 각국 중앙은행의 ‘금 사재기’에도 한국은행 금 보유 10년째 그대로인 이유는
- 10대 로펌 작년 실적 살펴보니… ‘광장·율촌’ 웃고, ‘대륙아주’ 급성장
- [젊은 두뇌가 뛴다]⑥“車부품처럼 고장난 유전자 통으로 바꾸는 시대 곧 와요”
- 재건축은 '미소', 리모델링은 '한숨'… 희비 엇갈린 이유